본문 바로가기
계장/계장 설계

계장 설계 15 - HOOK UP DWG. #2( Flowmeter, Analyzer, Valve 훅업 도면 )

by 쪼렙엔지니어 2022. 5. 27.
반응형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Hook Up Dwg.(훅업 도면)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시간에는 압력계기와 온도계기의 훅업도면에 대해서 알아보았었죠? 오늘은 Flowmeter와 Analyzer의 훅업도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Diff. Pressure Flowmeter (차압식 유량계)

먼저 차압식 유량계의 훅업도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제 알아보았던 Pressure Transmitter의 훅업도면과 거의 유사합니다. 다만 차압이다보니 Pressure Impulse Point가 두 곳인것이 다르네요. 그리고 유체가 Combusion Gas, Air Flue Gas등의 기체이기 때문에 Impulse Point는 배관의 수직방향입니다. 그리고 응축수가 생길 것을 대비해서 드레인 포인트도 만들어 두어야 합니다.

번호에 따른 아이템 종류는 위 표를 참고하시구요. Pressure Transmitter과 마찬가지로 어려운 내용은 따로 없습니다. 아 그리고 차압식 유량계는 오리피스, 벤츄리 노즐, V-CON등을 사용해야 하는데 해당 아이템의 면간거리 및 전후단 직관거리등을 항상 꼼꼼하게 체크해야 합니다. 이 내용의 자세한 사항은 따로 다른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2. Ultrasonic Flowmeter (초음파유량계)

 

두번째는 초음파유량계입니다. 이번 초음파유량계의 경우 Remote Type으로 유량계 Sensor부분과 Converter 및 Display부분이 따로 떨어져 있는 모델입니다. 이럴경우 Converter와 Display부분은 벽부형으로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를 하던가 아니면 Station을 하나 따로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차압식 유량계에서 언급했던것과 같이 설치에 관한 메이커 스탠다드 사항들을 기입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내용은 메이커나 모델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꼭 Manual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3. Analyzer

아날라이져는 정말 여러 메이커와 모델이 있죠. 그 메이커와 모델마다 설치 방법이 전부 다릅니다. 주의하셔야 해요. 꼭 Manual을 참조하셔서 메이커에서 권고하는대로 설치를 해야 합니다.

4. Valve

마지막으로Vavle에 대한 훅업 도면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Valve body자체를 설치하는 것은 훅업도면에 표현할 필요가 없지만 Instrument Air의 연결등의 내용은 표현해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사용되는 아이템들도 같은 도면에 표현 해 주어야 합니다. 특별히 어려운 내용은 없습니다. 그리고 위 도면은 기본적인 내용만 표현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케이블 커넥션에 대한 내용들이나 바디설치시의 면간거리등의 정보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 프로젝트의 경우 다른 설계도서에 나와있는 내용들은 빼고 도면을 그렸기 때문에 이정도로만 작성하였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여러가지 훅업도면의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러한 설계 도면들은 직접 사도를 그려보아야 자기것이 됩니다. 레퍼런스 도면을 가지고 현장의 모습을 상상해보며 연습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