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지난시간에 알아본 Valve List(Valve Schedule)에 이어서 MOV List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MOV는 Motor Operated Valve의 약자 입니다. MOV 자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른 포스팅에서 다루고 오늘은 설계도서의 내용에 집중하겠습니다.
참고로 만약에 MOV같은 경우 수량이 거의 별로 없다면 Valve List에 포함시켜서 다른페이지로 구성해서 만들기도 하지만 보통 일반적으로는 따로 만듭니다. 그 이유는 Valve List의 Valve들과 MOV는 Actuator가 달라서 구동방식 자체도 다르고 악세사리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자동차 리스트를 만드는데 내연기간엔진의 자동차와 전기자동차는 내부 구성품이 달라서 같은 리스트에 집어넣으면 리스트를 작성하는데 조금 힘들겠죠? 그런 이유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도 큰 틀에서는 Valve인것은 변함이 없기 때문에 Valve List와 엄청 다르지는 않습니다. 빠르게 내용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MOV List 양식
![](https://blog.kakaocdn.net/dn/b6jeL7/btrCITD5Ld1/bpygQX2pWN5ATsVGwbgx2K/img.png)
양식을 먼저 한눈에 확인해보면 우리가 이전에 배웠던 Instrument List나 Valve List와 느낌이 비슷합니다. P&ID 기반의 Tag별로 정리하고 해당 MOV가 설치되는 지점의 Operation Condition check와 거기에 맞는 재질 및 악세서리등이 명기되어 간단하고도 체계적으로 MOV를 한눈에 볼 수 있는게 핵심입니다. 그럼 항목을 하나씩 확인해 보겠습니다.
2. MOV List Note.
![](https://blog.kakaocdn.net/dn/y2vNS/btrCMLY7YgA/ohm92RDqCuDhvGKGD3UKOK/img.png)
Note. (도면의 symbol & Legend같은 성격)를 한번 쭉 보겠습니다. 먼저 Tag No.의 설명이 되어 있네요. Tag는 P&ID를 따라간다고 누차 말씀드렸습니다. 사실 위 내용은 프로젝트를 몇번 해본 분들은 안봐도 될 내용입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List류의 설계도서들은 누가봐도 한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이 되어야 한다고 말씀드렸었죠? 그래서 이러한 내용까지도 적어두는 것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7EEY8/btrCQwnaZK3/buxTDg1wiZmXyD93MdoIKK/img.png)
그 다음은 Signal의 종류 입니다. 이 도서는 MOV List니까 M이 되겠지요?
![](https://blog.kakaocdn.net/dn/b9LZjW/btrCQvhu0eq/gGcPn4Ck2ky72HYR7Sz2jk/img.png)
그 다음은 Valve의 Type입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Butterfly Valve는 사용하지 않는가 보네요. 고온고압의 프로젝트에서는 Butterfly Valve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Leak가능성이 타 밸브들에 비해 좀 더 높거든요.
![](https://blog.kakaocdn.net/dn/RLaqS/btrCOsdVCtQ/ls9nwthf891e8Q3KKnWfvK/img.png)
그리고 Connection Type입니다. Rating은 굳이.. Note에서 명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나중에 작성된 내용을 확인할 때 보시겠지만 어차피 개별로 자세히 적거든요.
![](https://blog.kakaocdn.net/dn/cB0mhV/btrCPHbqHGr/OElMUY77aem0T0k21OTJTK/img.png)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타사항들 입니다. 악세서리와 Fail 종류에 따른 Action입니다.
그럼 이제 작성 내용을 한번 확인해 볼까요?
3. MOV List 내용
![](https://blog.kakaocdn.net/dn/bqWZug/btrCQ7ABhIt/n7ojCjrKcRu17sFCILAb01/img.png)
먼저 Tag No.와 Service (Description)입니다. Tag는 P&ID를 따라가면 되고, Service는 해당 MOV가 설치되는 위치와 목적이 누가봐도 알아 볼 수 있게 명시되면 됩니다. 단! 간단명료해야 합니다. 서술형으로 주저리주저리 적으면 안됩니다. 이러한 Service를 작성하는 요령은 reference project를 많이 섭렵해 보아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WpnR/btrCQw1MuE8/s5GjpSaOg3tFkeuWDhTKb0/img.png)
두번째로는 Operation Condition을 명시해 주어야 합니다. 각 MOV가 설치되는 포인트의 정보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어야 합니다. 해당 포인트의 정보는 Heat & Mass Balance를 따라가야 합니다. 설계 초기단계에서는 Heat & Mass Balance가 변경될 요소도 많기 때문에 꼭 중간중간 자주 크로스체크를 해야 합니다. 조금이라도 의구심이 들때는 공정파트와 협의 또는 확인을 해야 합니다. 해당 정보에 따라 재질이 다양히 바뀌기 때문에 실수해서는 안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A7jBV/btrCRQ6LVaj/876zHpas1r0HuGK4o592J0/img.png)
그 다음은 Signal과 Type 입니다. 위에서 Note.를 알아볼때 확인했었던 내용들입니다. 각각의 밸브에 맞게 적으면 됩니다. 어렵지 않죠??
![](https://blog.kakaocdn.net/dn/Y9S5q/btrCMXlJJIM/cKDjvr2Nr8E0HQ4jRcgCkK/img.png)
다음은 Rating과 Connection입니다. Rating은 Valve 허용 압력을 이야기 합니다. 그리고 시방서(기술규격서)에서 명시된 규격에 맞는 Rating으로 적어주어야 합니다. ANSI인지 JIS인지 ASME인지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꼭 확인을 해야합니다. 그리고 배관의 허용압력을 따라가기 때문에 기계배관파트와 협의를 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그리고 Connection도 기계배관파트와 협의를 해야합니다. 어차피 이 Body부분의 스펙은 기계파트의 검토를 받아야 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꼭 발주내기 전에 꼼꼼하게 확인 후 발주내시기 바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LI1nL/btrCMMqcmAi/fLqb9Q3CGErYDIzCugyuHk/img.png)
다음은 Body 및 Trim의 Material입니다. 그리고 Valve Size, Line Size, Pipe Schedule입니다. 먼저 Body 및 Trim의 Material은 기계파트와 협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시방서(기술규격서)에 따로 명시되거나 요구사항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Valve 및 Line 사이즈는 서로 맞게 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Pipe Schedule도 꼭 P&ID 및 기계파트에 확인을 해야합니다. 바뀔수도 있는 내용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간단하게 MOV List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이런 List류의 도서들은 크게 어려운것이 없습니다. 이렇게 작성한 List를 기반으로 승인을 득하고 발주를 내면 됩니다. 처음 하시는 분들은 레퍼런스 프로젝트를 참고하여 P&ID 및 기계배관 도면과 Valve Datasheet를 참고하며 List안의 내용과 매칭시켜 보며 확인하는 연습을 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좋아요) 부탁드리고,
댓글은 다른분들께도 좋은 정보일 수 있으니
공개로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작은 정성이 좋은 포스팅을 생산하는
힘이 된답니다. :)
감사합니다.
'계장 > 계장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장 설계 14 - HOOK UP DWG. #1( 압력계기, 온도계기 훅업 도면 ) (4) | 2022.05.26 |
---|---|
계장 설계 13 - Inter Connection Diagram ( 인터 커넥션 다이아그램 ) (0) | 2022.05.25 |
계장 설계 11 - Valve List (밸브 리스트, Valve Index) (1) | 2022.05.23 |
PLC 회로 설계 AI(Analog Input), AO(Analog Output) (2) | 2022.04.06 |
PLC 회로 설계 DI(Digital Input), DO(Digital Output) feat. DC 24V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2.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