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장/계장 설계

계장 설계 13 - Inter Connection Diagram ( 인터 커넥션 다이아그램 )

by 쪼렙엔지니어 2022. 5. 25.
반응형

오늘은 Inter Connection Diagram (인터 커넥션 다이아그램) 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비슷한 이름은 전부 동일한 성질의 도면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Connection Diagram, Inter Connection Wiring Diagram 등등 발주처에 따라 이름이 조금씩 틀릴거지만 동일한 성질의 도면입니다. 그럼 한번 알아볼까요?

Inter Connection Diagram은 무엇을 나타내는 도면일까요? 이름에서 조금 스멜이 느껴지지 않으세요? 맞습니다. Connection(결선) 도면입니다. 그런데 어느 한 설비의 결선도면이 아닌, 전체 시스템을 아우르는 결선도면입니다. PLC판넬과 PLC판넬, PLC판넬과 DCS판넬, MCC판넬과 PLC판넬, 인버터와 PLC판넬 등등 제어파트에 속하는 모든 결선내용이 여기에 담겨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 중요하겠죠? 이 도면 보고 현장의 계장공 분들이 결선을 하시는 것입니다. 그래서 공사도면 단계에서는 정확해야 합니다.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전기파트에도 Connection Diagram이 있습니다. 펌프와 MCC, FAN과 인버터등등 전원케이블도 결선이 필요하잖아요? 그래서 결선도면이 있습니다. 다만 전원인지 제어인지에 따라 파트가 나누어 지겠죠? 계장에서는 제어파트만 담당하면 됩니다. 그럼 양식부터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1. Inter Connection Diagram 양식

일단 간단하게 전체 약식부터 보겠습니다. 위 도면을 일단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 놓았습니다. 첫번째 빨간색 영역과 세번째 파란색 영역이 연결되어야 하는 설비고 중간에 초록색 영역은 케이블 정보가 나와 있습니다. 그럼 차근차근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2. Inter Connection Diagram 내용

1번에서 본 빨간색 영역입니다. FR-EQUIPMENT OR PANEL에서 FR은 From을 의미합니다. 그 아래 EQUIP.NAME은 설비의 이름을 쓰면 되고, EQUIP.NO는 P&ID의 TAG No.를 따라가면 됩니다. 그리고 오른쪽에 보면 EXT.TERMINAL이라고 적혀 있는데 여기서 EXT는 External의 약자 입니다. 즉 외부 터미널 단자를 의미하는 거죠. 여기서 결선해야 하는 터미널 블록을 명시해 줍니다. 만약에 터미널 넘버가 있다면 넘버도 적어주어야 하죠. 그리고 케이블의 컬러도 명시를 해 줍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케이블의 컬러를 통일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시방서(기술규격서)에 케이블 컬러 사용에 대해 명시가 되어 있습니다. 플러스에는 무슨무슨 컬러, 마이너스에는 무슨무슨 컬러 등등 정확하게 명시가 되어 있고 공사할 때 도 그 컬러만 사용을 해야 합니다. 그렇지만 소규모 프로젝트는 시방서에 명시가 안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방서가 없는 경우도 많죠. 그럴 때 우리는 위와 같이 플러스에 블랙을 사용했으면 다른 설비에 연결할 때도 플러스에는 블랙을 사용해야 합니다. 마이너스에 화이트를 사용했으니 쭉~ 이 프로젝트 끝날 때 까지는 마이너스에 화이트를 사용합니다.

초록색의 중간영역입니다. 이 부분은 두 설비 사이에서 연결될 케이블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제일 윗칸에는 EXTERNAL CABLE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설비입장에서 보면 양쪽 모두에게서 이 케이블은 외부 케이블이 되는 셈입니다. 그래서 외부 케이블이라고 써 있습니다. CABLE No. 는 시방서(기술규격서)의 규칙을 따릅니다. 대형 프로젝트는 케이블 한가닥 한가닥을 넘버링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만약에 케이블 넘버링에 대한 규약이 따로 없다면 발주처와 협의 후 자체적으로 넘버링 하셔도 무관합니다. 대신에 넘버링은 꼭 해야 합니다. 나중에 시운전 때 케이블 찾느라 고생하기 싫다면 꼭꼭 넘버링을 중복되지 않게 꼼꼼히 확인하며 잘 해놓아야 합니다.

그리고 TYPE CODE는 사전에 규약된 이 케이블에 대한 약칭입니다. 예를들어 이 프로젝트에서는 300V FR-CVVS 1P/1.5mm2를 DE6라고 했고 300V FR-CVVS 2P/1.5mm2는 DF6라고 규약을 했습니다. 이건 발주처 및 이 프로젝트에 관련된 사람들끼리 정한 규약입니다. 뒤쪽에 CABLE SPEC이 다 나와있는데 왜 굳이 TYPE CODE를 만드나요~? 라는 의문이 있을 수 도 있습니다. 그건 케이블에 넘버링을 할 때 케이블 종류를 전부 길게 적을 수 없어서 짧게 타입코드만 기입해놔도 쉽게 알아보기 위함 입니다.

마지막으로 파란색 영역을 한번 보겠습니다. 앞에서 빨간색 첫번째 영역에서 FROM EQUIPMENT였으니 여기는 TO EQUIPMENT가 되겠지요. FROM과 TO는 한쌍이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출발하는 곳이 있으면 도착하는 곳이 있어야 하니까요. 특별히 어려운 내용은 없습니다. EXT. TERMINAL은 단자를 잘 알아 볼 수 있게 번호를 잘 기입해 주면 됩니다. EQUIP.NO는 P&ID를 따라가면 된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기 밑에 AI#1 N00은 PLC AI POINT 첫번째 카드의 0번 채널이라는 의미입니다. EQUIP.NAME을 보면 BCS라고 되어 있네요. 이건 Boiler Control System의 약자입니다. 이정도는 쉽지요? 이렇게 규약으로 정해져 있는 내용이나 알아볼 수 있게 잘 작성하시면 됩니다.

그 뒤쪽에 FUNCTION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이건 어떤 단위시스템인지 표현해 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REMARK에는 기타 더 필요한 내용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저는 해당 EQUIPMENT의 MANUAL을 기입하였습니다. 혹시 이해가 안되면 찾아보아야 하니까요.

3. JUCTION BOX가 있는 Inter Connection Diagram

자 이렇게 INETER CONNECTION DIAGRAM을 한번 찬찬히 뜯어보았습니다. 그런데 위와 같이 설비에서 설비로 직접 연결되는 프로젝트가 있는가 하면 중간에 JUNCTION BOX가 놓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경우는 어떻게 작성이 되는지 한번 보기위해 다른 프로젝트 양식을 한번 보겠습니다.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중간에 JUCTION BOX만 하나 더 추가된 것 뿐입니다. 쉽죠? JUCTION BOX는 말 그대로 중간에 터미널 단자만 있는 판넬박스입니다. 그래서 좌우측이 1:1로 매칭되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넘버링만 신경써주면 됩니다. 그리고 특이점을 꼽자면 JUCTION BOX에서 PLC나 DCS PANEL로 갈때는 Multicore Cable을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Field와 Control Room(PLC나 DCS가 있는 장소)사이의 거리가 멀면 멀 수록 이렇게 중간에 JUCTION BOX를 사용해서 Multicore로 끌고 가는 것이 훨씬 이득입니다. 이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자세히 계산해보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좋아요) 부탁드리고,

댓글은 다른분들께도 좋은 정보일 수 있으니

공개로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작은 정성이 좋은 포스팅을 생산하는

힘이 된답니다. :)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