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 Valve, Shut off Valve, Valve Schedule
오늘은 Valve List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예전에 Instrument List와 비슷한 도서인데, 아이템만 바뀌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Valve List의 주 목적은 설비에서 사용 할 Valve들을 나열해 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먼저 Valve는 작동방식으로 나누면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Manual Valve, Shut-off Valve, Control Valve, MOV(Motor Operator Valve)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MOV는 보통 MOV List를 따로 만듭니다. 아울러 이 Valve의 분류에 대한 내용은 이미 한번 포스팅을 했기 때문에 포스팅 링크로 대체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https://mech19.tistory.com/138
그럼 오늘 내용을 본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간단한 내용이니 후딱 정리할께요.
먼저 Valve List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위에서 얘기했던 MOV는 일단 수량과 관계없이 따로 도서를 만듭니다. 그리고 Manual Valve의 경우 기계파트의 영역이라서 대부분 기계파트 승인도서 목록에 포함이 됩니다. 다만 계장파트의 영역인 Shut Off Valve와 Control Valve의 수량이 많고 Manual Valve의 수량이 극히 미미하다면(그럴일은 거의 없습니다. ㅎㅎ) 계장파트의 Valve List에 포함시켜 줄 때도 간혹 있습니다. 그리고 Shut Off Valve와 Control Valve가 수량이 둘다 많다고 하면 List를 따로 하기도 합니다. 만약에 같이 해도 될 정도의 수량이면 같이 작성하도록 합니다. 그럼 양식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Valve List양식
대충 보시면서 어떤 느낌으로 양식이 되어 있는지 전체적인 느낌만 파악하시면 됩니다. 지난번에 알아보았던 Instrument List와 유사하죠? List라는 이름이 붙은 도서들은 전부 비슷하게 생겼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하나씩 필수요소들을 알아가 보겠습니다.
2. Valve List Note. (Legend)
먼저 Valve List에 풀명칭을 모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약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그 약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약어는 이 도서를 보는 사람들끼리의 규칙일 뿐 법적으로나 규범적으로나 정해진게 아니니 그때그때 유도리 있게 변경하시며 사용하시면 될 듯 합니다. 그럼 하나씩 보겠습니다.
어려운건 없죠?
TRIM FORM은 Valve BODY의 TRIM이 움직이는 타입을 의미합니다.
TRIM 재질도 써주도록 합니다.
그리고 Actuator 동작 타입에 대한 내용도 써주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Valve Body와 Actuator를 제외한 나머지 악세서리에 대해서도 써주도록 합니다.
이제 Note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니 실제 List상에는 어떤 내용들을 기입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3. Valve List 내용
먼저 Valve 종류를 명시해 줍니다. 전에 이야기 했던 내용 기억하시나요? Manual Valve는 기계파트이지만 수량이 극히 미미하다면 계장파트에 포함시켜 주기도 합니다. 그외에 ON-OFF, PRV, CONTROL VALVE의 종류를 명시해 주도록 합니다. PRV는 압력자동조절기능밸브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Tag No. 입니다. 이건 P&ID를 따라가면 됩니다.
그 다음은 Service (Description) 입니다. 어떤 기능과 어느 위치에 설치가 되는지등을 써주면 됩니다. P&ID와 대조해 보았을때 알 수 있도록만 표현되면 됩니다. 하지만 간결하게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 다음, 유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굉장히 중요합니다. 어차피 밸브의 재질은 배관재질을 따라가긴하지만 유체정보를 메이커에 알려주어야 해당 유체에 견딜 수 있는 밸브를 제대로 제작이 가능합니다. 왜냐면 배관의 경우 움직임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지만 밸브는 움직이기 때문에 배관과 동일한 재질이더라도 고장이 나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유체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더불어 해당 유체의 Condition에 대한 정보도 적어주어야 합니다. 이런 내용을 작성할 때는 단위에 조심해야 합니다. 유체에 따라 사용하는 단위나 설비 위치에 따라 사용하는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위를 적어주고 특정단위를 사용하는 밸브의 경우 꼭 명시를 해주어야 합니다.
다음은 밸브 Body의 사이즈 정보입니다. P&ID를 보면 배관의 사이즈가 나와있습니다. 그걸 따라가면 됩니다. 다만 앞뒤로 레듀샤가 붙는 경우가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다음은 Rating 입니다. Valve List의 Rating은 허용압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나타난 10K는 JIS규격입니다. 꼭 시방서의 규격을 확인해서 해당 규격을 따라가야 합니다. 그리고 보통 밸브는 배관허용압력을 따라갑니다. 그래서 기계파트와 꼭 협의를 해야합니다.
다음은 Valve Type입니다. 구매하고자 하는 종류를 기입하면 됩니다.
그 다음은 Connection Type 입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연결은 배관PIPE와 Valve Body의 연결입니다.
다음은 Body 재질 및 기타 밸브의 재질 정보입니다. 이건 기계파트와 협의를 해야 합니다. 계장파트의 내용이 아닙니다.
그리고 이제 악세서리에 대한 정보를 기입합니다. 아까 위에서 Note.에서 이야기했던 부분과 매칭시켜보면 됩니다.
딱히 어렵거나 특별한 내용은 없죠? 이렇게 Valve List를 작성하여 먼저 발주처와 협의한 뒤에 협력업체에 RFQ와 함께 송부하여 구매를 시작하게 됩니다. 협력업체의 경우 우리보다 밸브의 고수들이기 때문에 협력업체가 지정되고 나면 설비에 대하여 긴밀히 의논하고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수정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구매를 진행하면서 Valve Data Sheet를 받아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면 됩니다.
오늘은 이렇게 Valve List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MOV List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좋아요) 부탁드리고,
댓글은 다른분들께도 좋은 정보일 수 있으니
공개로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작은 정성이 좋은 포스팅을 생산하는
힘이 된답니다. :)
감사합니다.
'계장 > 계장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장 설계 13 - Inter Connection Diagram ( 인터 커넥션 다이아그램 ) (0) | 2022.05.25 |
---|---|
계장 설계 12 - MOV List (Motor Operated Valve List) (2) | 2022.05.24 |
PLC 회로 설계 AI(Analog Input), AO(Analog Output) (2) | 2022.04.06 |
PLC 회로 설계 DI(Digital Input), DO(Digital Output) feat. DC 24V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2.04.05 |
PLC Panel 상세설계 #2 ( 판넬 설계 하는 방법 ) (1) | 2022.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