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시간에 이어서 PLC Panel 상세설계 방법을 계속 알아보겠습니다. 처음오신분들은 아래의 지난 포스팅을 먼저 읽어보시고 오시길 강력 추천드립니다.
https://mech19.tistory.com/143
PLC Panel 상세설계 #1 ( 판넬 설계 하는 방법 )
오늘은 계장 파트의 판넬 설계 상세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판넬에는 여러종류가 있습니다. PLC Panel, DCS Panel, LOP(Local Operator Panel), Sol Panel, Analyzer Panel 등등 말할 수 없이 많은 종류들이..
mech19.tistory.com
이제 남은 내용은 속판 배치와, Duct Size, 외함 규격입니다. 어렵지 않은 내용이니 빠르게 집중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PLC Panel 속판 배치
Panel은 크게 외함과 속판으로 구분되어 집니다. 외함은 말 그대로 바깥부분이고 속판은 외함 안에 들어가는 판으로 이 속판에 PLC 및 단자대터미널, 각종 계기류와 릴레이등이 설치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qQwjy/btrymiVQeH0/KiP0cH1p3Ka0UncfREhjx0/img.png)
위 사진에서 빨간색 네모박스 안에 볼트로 고정된 속판이 보이시나요? 저런식으로 속판을 외함에 설치합니다. 그리고 속판을 설치하기 전에 속판에 미리 모든 기구들을 다 설치를 먼저 합니다. 속판작업을 먼저하고 무거운 기기만 제거하고 속판을 외함에 설치한뒤 제거했던 무거운 기기만 새로 부착하는게 훨씬 작업이 편리합니다. 그럼 속판배치를 설계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배치를 하는 설계방법이라고 이야기를 했지만 전혀 어렵거나 복잡하지 않습니다. 케이블의 경로를 생각해보고 설계자가 생각하기에 가장 효율적인 케이블 경로가 되도록 배치하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qEcQ/btryrplpdpY/43g7UMmpiank46kIyvomBK/img.png)
위 도면을 예시로 한번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일단 이 판넬은 양면을 사용하는 판넬입니다. 그래서 속판이 앞면과 뒷면이 있습니다. 당연히 외함도 앞문과 뒷문이 다 있습니다. 앞면 도면을 보시면 빨간색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 방향으로 Main 전원 케이블이 인입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Main차단기에 연결이 되고 각 필요부분으로 분기가 됩니다. 그래서 1번 박스 부분에 Main 차단기 및 분기 차단기들을 위치 시킵니다. 밑에서 케이블이 들어오는데 차단기를 밑에 위치시키면 더 좋지 않나요? 라고 이야기 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판넬 도어를 열었을때 가장 눈에 잘 띄는 곳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DC Power Supply 등도 1번 구역에 같이 위치를 시킵니다.
다음으로 2번 구역에는 PLC를 위치시킵니다. Power Supply에서 나온 전원을 PLC Module에 사용하기 위해서 이기도 하고 PLC의 Power Supply에 전원을 빨리 넣어주기 위해서 입니다.
그 다음에는 3번 구역으로 이곳에는 220v전원을 이용하기 위한 토글스위치와 PLC DO 접점에 사용할 Relay를 위치 시킵니다. 5번 구역이 Surge Protector인데 3번과 위치를 바꾸어도 괜찮습니다. 다만 220v라인을 판넬 뒷편으로 넘기기 싫어서 앞면에 위치시키다 보니 Surge Protector공간이 부족해서 이렇게 위치가 되었습니다.
4번 구역에는 판넬용 스페이스 히터와 접지용 부스바 등을 위치시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6번 구역에는 외부 인입 제어케이블용 터미널 단자대를 위치시킵니다.
대충 느낌이 오시나요? 덕트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 케이블의 루트를 머릿속으로 그려보며 가장 짧고 간단하며 깔끔하게 정리 할 수 있는 모습으로 각 기기들을 위치시키시면 됩니다. 어렵지 않죠?
2. DUCT SIZE 계산
다음으로 Duct Size 계산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케이블의 선정입니다. 내부에 어떤 케이블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을 해야 Duct Size를 구할 수 있습니다. 보통 전원용 Cable은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항상 Duct Size가 널널합니다. 여유가 있죠. 그런데 PLC 판넬에서는 제어용 Cable이 워낙에 많고 멀티코어로 들어오기 때문에 항상 빡빡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m6Zhn/btrymjmTV1P/hJ07Wh3ksgKYC4FPPu1beK/img.png)
위 도면에서 빨간색 원으로 표시한 부분들이 가장 케이블이 많은 부분들입니다. 저곳 기준으로 30%정도는 여유가 있어야 향후 유지보수하기가 용이합니다. Duct Size를 생각없이 설계하면 보통 Duct가 터진다 그러죠.. 그래서 보기도 흉하고 유지보수 하기도 엄청 힘듭니다. Cable 찾기가 모래사장에서 바늘 찾기거든요.
![](https://blog.kakaocdn.net/dn/dBCj3z/btryo0fQtp3/Rkj3QaSXD8E20bLWldrw11/img.png)
LS산전의 F-CVV 카달로그를 보면 위와 같이 정보가 나와있습니다. 2core 1.5sq의 경우외경이 12mm이죠. 그럼 면적을 계산해보면 3.14x6^2=113.04mm^2이 됩니다. 이게 만약에 100가닥이 들어간다고 가정한다면 11,304mm^2의 면적을 차지하게 되는거죠. 이 최소 필요 면적보다 최소 20%~30%이상 여유를 주고 Duct 면적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이런 경우는 100 x 150짜리 덕트를 사용 합니다. 이해 되시나요? 어렵지 않습니다. ㅎㅎ
3. 외함규격
마지막으로 외함규격입니다. 외함의 재질과 두께는 시방서(기술규격서)에 나와있습니다. 저는 보통 Body는 2.3t, Door는 3.2t, Base는 5t 정도로 설계합니다. 만약에 발주처의 다른 요구사항이 있다면 적용시켜 줍니다. 도장 또한 시방서(기술규격서)에 나와 있습니다. 그렇지만 도장은 특별히 발주처 담당자에게 미리 확인을 해야 합니다. 보통 담당자들은 판넬을 위치시키는 곳의 다른 판넬들과 칼라를 통일시키기를 원하거든요. 시방서를 항상 다른 프로젝트것을 카피해서 사용하기에 잘못 표기되어 있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확인해야 합니다.
아울러 크레인볼트 설치유무등도 발주처 담당자와 미리 협의해야 합니다. 판넬을 현장에 설치 할 때 방식에 따라 필요유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PLC Panel을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PLC 회로를 구성하는 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좋아요) 부탁드리고,
댓글은 다른분들께도 좋은 정보일 수 있으니
공개로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작은 정성이 좋은 포스팅을 생산하는
힘이 된답니다. :)
감사합니다.
'계장 > 계장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C 회로 설계 AI(Analog Input), AO(Analog Output) (2) | 2022.04.06 |
---|---|
PLC 회로 설계 DI(Digital Input), DO(Digital Output) feat. DC 24V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2.04.05 |
PLC Panel 상세설계 #1 ( 판넬 설계 하는 방법 ) (2) | 2022.03.25 |
계장 설계 10 - PLC Panel dwg (PLC 판넬 도면) (0) | 2022.02.25 |
계장 설계 9 - Instrument Plot Plan ( Instrument Location DWG ) (0) | 2022.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