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29

전기 설계 2 - Cable Schedule (케이블 스케쥴) 오늘은 전기설계 두번째 시간입니다. 지난시간에 Electric Load List에 대해서 알아보았죠? 그때 완성한 Load List로 이제 각각의 부하에 대한 정보를 정리했으니 각각의 부하에 맞는 케이블을 선정하고 해당 부하가 위치하는 곳 까지 케이블을 포설해야 합니다. 그것에 대한 정보가 담기는 문서가 오늘 알아볼 Cable Schedule(케이블 스케쥴) 입니다. 그럼 차근차근 하나씩 알아가 보겠습니다. ​ 1. Cable Schedule 양식 그럼 전체적인 양식을 먼저 보겠습니다. 리스트 형식으로 쭉 나와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케이블 넘버와 From-To, 그리고 케이블 스펙입니다. 작성하는 방법은 바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약간 노가다성에 가까운 작업일 뿐입니다. ​ .. 2022. 7. 1.
전기 설계 1 - Load List (부하 리스트) 오늘은 전기설계에 대해 알아 보는 첫번째 시간으로 Load List (부하 리스트)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제 블로그에는 전기와 계장, 그리고 제어와 통신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요즘 최근들어 너무 제어와 계장에 대한 내용만 다룬 것 같아서 전기에 대해서 어떤 내용을 다루어 볼까 생각하다가 설계의 순서와 내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루어 보기로 했습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입니다. 혹시 전기 설계의 대략적인 순서를 쭉~ 한번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간략하게 나와있습니다. https://mech19.tistory.com/155 전기 설계 - DCL (Document List) 오늘은 전기설계에 대한 내용을 시작하는 첫날로 설계도서(도면) 목록인 DCL (Docume.. 2022. 6. 29.
전기 설계 - DCL (Document List) 오늘은 전기설계에 대한 내용을 시작하는 첫날로 설계도서(도면) 목록인 DCL (Document List)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DCL이란 말 그대로 우리가 발주처에 승인을 득하고 최종적으로 설비의 납품과 함께 제출해야 하는 도서 및 도면의 목록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제출해야 하는 설계 도서 및 도면인 DCL 이외에도 설계를 함에 있어서 수많은 과정과 절차가 있지만 일단은 우리의 기본적인 목적이 되는 DCL에는 어떤도서와 도면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아는게 기본중의 기본임으로 오늘은 DCL 부터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계장파트의 DCL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https://mech19.tistory.com/154 자 그럼 오늘 주 내용인 전기설계 DCL을 바로 .. 2022. 6. 27.
차단기 용량 선정 - 고장계산 #4 고장계산 마지막 4번째 시간입니다. 마지막 시간이므로 직접 예시회로를 통해 고장계산을 수행해 보며 이전 내용들에 대해 더 심도있게 확인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전 포스팅을 통해 %Z법(퍼센트임피던스법)에 대하여 미리 이론정리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특히 이 포스팅을 처음 보시는 분들이라면 꼭 이전 포스팅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https://mech19.tistory.com/86 차단기 용량 선정 - 고장계산 #1 오늘은 차단기의 용량 선정시에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인 정격차단용량 (정격차단전류)를 선정해 보려고 합니다. 그럼 정격차단용량 (정격차단전류)을 선정할때 필요한 고장전류 계산법에 대하 mech19.tistory.com https://mech19.tistory.com/88 차.. 2021. 12. 15.
차단기 용량 선정 - 고장계산 #3 오늘은 고장계산 3번째 시간입니다. 직접 예시를 들어 %Z법(퍼센트임피던스법)을 이용한 변압기의 전압, 전류, 임피던스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Z(퍼센트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고장계산을 수행함에 있어 전압과 전류 그리고 임피던스의 상관관계가 정확하게 개념정리가 되어 있는 것은 매우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오늘 포스팅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일단 먼저 오늘 처음 오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여 %Z법(퍼센트임피던스법)에 대하여 이론적인 내용을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https://mech19.tistory.com/86 차단기 용량 선정 - 고장계산 #1 오늘은 차단기의 용량 선정시에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인 정격차단용량 (정격차단전류)를 선정해 보려고 합니다. 그럼 정격차단용량 (정격차.. 2021. 12. 15.
차단기 용량 선정 - 고장계산 #2 오늘은 차단기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아주 중요한 정격차단용량(정격차단전류)을 계산해 보려고 합니다. 예전에 이 내용에 대한 이론을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아래 포스팅 참조) https://mech19.tistory.com/86 차단기 용량 선정 - 고장계산 #1 오늘은 차단기의 용량 선정시에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인 정격차단용량 (정격차단전류)를 선정해 보려고 합니다. 그럼 정격차단용량 (정격차단전류)을 선정할때 필요한 고장전류 계산법에 대하 mech19.tistory.com 오늘부터 위 포스팅내용의 이론을 바탕으로 직접 예시를 들어가며 계산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오늘은 %Z법(퍼센트임피던스법)과 옴법을 비교하여 %Z법(퍼센트임피던스법)의 편리함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천천.. 2021. 1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