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전기 설계

전기 설계 2 - Cable Schedule (케이블 스케쥴)

by 쪼렙엔지니어 2022. 7. 1.
반응형

오늘은 전기설계 두번째 시간입니다. 지난시간에 Electric Load List에 대해서 알아보았죠? 그때 완성한 Load List로 이제 각각의 부하에 대한 정보를 정리했으니 각각의 부하에 맞는 케이블을 선정하고 해당 부하가 위치하는 곳 까지 케이블을 포설해야 합니다. 그것에 대한 정보가 담기는 문서가 오늘 알아볼 Cable Schedule(케이블 스케쥴) 입니다. 그럼 차근차근 하나씩 알아가 보겠습니다.

1. Cable Schedule 양식

그럼 전체적인 양식을 먼저 보겠습니다. 리스트 형식으로 쭉 나와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케이블 넘버와 From-To, 그리고 케이블 스펙입니다. 작성하는 방법은 바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약간 노가다성에 가까운 작업일 뿐입니다.

2. Cable Schedule 내용

1) Cable No.

먼저 케이블 넘버입니다. 이 케이블 넘버 체계는 프로젝트마다 다릅니다. 대형 발주처나 사업주일 수록 해당 회사만의 전체적인 케이블 넘버 체계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방서(기술규격서)를 따라 주도록 합니다. 이번 프로젝트의 경우 아래와 같은 규정을 따라갑니다.

이러한 케이블 넘버링 체계는 향후 유지보수하는 입장에서도 정확한게 중요하기 때문에 꼭 꼼꼼히 체크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발주처 담당자 입장에서도 루프체크는 100% 확인 하지 않더라도 라인체크는 꼭 100% 체크하는 것을 저는 추천 합니다. 저라면 그럴것 같아요. 나중에 고생하지 않기 위해서라도요.

2) Type Code

다음은 타입 코드 입니다. 특별한 것 없습니다. 케이블 스펙에 맞는 코드 넘버링을 기입해 주면 됩니다. 이것은 프로젝트마다 다릅니다. 타입 코드를 지정하는 이유는 케이블에 넘버링 튜브에 케이블 스펙을 일일이 적어줄 수 없기 때문에 타입 코드를 간략하게 적어줌으로서 케이블을 직접 까보지 않더라도 케이블 스펙을 확인 할 수 있게 해주는 용도입니다.

3) Cable Spec.

다음은 케이블 스펙입니다. 가장 중요하죠. 그렇지만 이것도 어차피 노가다성 작업입니다. 거의 반복되는 스펙이기 때문에 틀리지 않게만 적어넣으면 됩니다. 그럼 여기서 의문이 듭니다. 부하에 맞는 케이블 스펙은 어떻게 지정이 되는가?? 첫번째로는 시방서(기술규격서)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전원용 Power Cable의 종류와 최소 sq는 어디서 부터 사용해라. 등등의 내용이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계산서를 작성한 뒤 발주처와 협의를 통하여 최종 정리하게 됩니다. 케이블 사이징은 당연히 케이블 메이커의 허용전류표를 이용하고 첨부를 하여 그것을 따르도록 합니다.

4) Length, Tray No.

길이와 트레이 번호는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시간에 Cable Schedule과 Tray Lay-Out은 함께 동시에 설계를 해야한다는 것을 이야기했었습니다. 기억나시는지요? 그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Cable Schedule에는 해당 케이블의 길이정보가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Tray 뚜껑을 열어보지 않고도 어떤 경로로 포설이 되어 있는지가 나와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Cable Schedule과 Tray Lay-Out은 동시에 설계를 합니다. 여기서 길이는 약간 넉넉하게 표시하도록 합니다. 향후 유지보수를 위해서 타이트한 정보 보다는 여유율이 가미된 정보를 표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5) Equipment Name, Equipment No.

설비 이름과 설비 번호는 케이블이 출발하는 From설비와 케이블이 도착하는 To설비가 있으니 양쪽 설비 모두를 기입해 주어야 합니다. 절대 틀리면 안되는 정보입니다. 여기서 Equipment No.는 당연히 P&ID를 따라가도록 합니다. 어렵지 않죠? Panel류의 경우 P&ID에 표시가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때는 Equipment List를 따라가도록 합니다.

오늘 이렇게 Cable Schedule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 어렵지 않았죠?

그럼 내일은 Tray Lay-Out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좋아요) 부탁드리고,

댓글은 다른분들께도 좋은 정보일 수 있으니

공개로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작은 정성이 좋은 포스팅을 생산하는

힘이 된답니다. :)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