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계장61

시리얼 통신 - RS422, RS485 이번 포스팅에서는 RS-422과 RS-485통신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합니다. 시리얼통신과 RS232C에 대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mech19.tistory.com/30 시리얼 통신 - RS232C 이제 직렬통신 중에서 시리얼 통신에 대해 얘기해 볼까 합니다. ​ 시리얼 통신에는 많은 통신방식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우리는 대표적으로 RS232C, RS422, RS485 통신 규격을 제일 많이 사용합니다. (여기서 우.. mech19.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한대로 시리얼 통신 중 RS232C통신의 경우 Single ended방식으로 노이즈에 굉장히 취약합니다. ​ 그러다 보니 실드케이블을 많이 사용하는데 신호케이블과 실드케이블사이에 부유용량이 생겨.. 2020. 4. 23.
시리얼 통신 - RS232C 오늘은 직렬통신 중에서 시리얼 통신에 대해 얘기해 볼까 합니다. ​ 시리얼 통신에는 많은 통신방식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우리는 대표적으로 RS232C, RS422, RS485 통신 규격을 제일 많이 사용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플랜트 산업계를 이야기 하는거에요. ㅎㅎ 일반인들은 USB를 제일 많이 쓰죠. ㅎㅎㅎ)​ 먼저 세가지 통신규격에 대하여 분류표를 통해 잠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죠. Spec. RS-232C RS-422 RS-485 동작방식 Single ended Differential Differential 통신방식 1:1통신 (1마스터 - 1슬레이브) 1:N통신 (약10EA) (1마스터 - 10슬레이브) N:N통신 (약32EA) (32마스터 - 32슬레이브) 전송거리 15m 1.2km 1.2km.. 2020. 4. 23.
통신이란? 통신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 우리가 핸드폰으로 전화를 하는것도 통신이고, 컴퓨터로 인터넷을 하는것도 통신이죠. 통신의 범주는 정말 어마어마하게 넓습니다. 일단 간단히 큼직큼직하게 분류부터 해보겠습니다. ​ 통신은 크게 직렬통신과 병렬통신이 있습니다. 아래 표부터 보고 계속 설명드리겠습니다. 통신의 종류 병렬통신 직렬통신 통신 가능 거리 단거리 원거리 주로 사용하는 용도 컴퓨터의 내부 통신 시스템간의 외부 통신 주 용도의 예 HDD와 메인보드간의 IDE통신 혹은 SATA cable 등등 Ethernet, USB 각종 시리얼통신 (232C,485....) 데이터 전송량 많음 적음 데이터 전송속도 빠름 느림 REMARK 구현기술이 복잡하고 구현하는데 비용이 많이 듭니다. 구현기술이 간단하고 구현하.. 2020. 4. 23.
제어기초(2) - 자기유지 오늘은 제어기초 두번째 시간입니다. ​ 지난번에 얘기한 A접점과 B접점을 이용하여 자동제어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자기유지 회로를 구성해 볼까 합니다. ​ 자기유지라는 얘기는 많이 들어 보셨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 자기유지. 말 그대로 자기 상태를 자기가 유지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제일 기본이 되는 회로부터 한번 보시지요. ​ 아래는 캐드로 그려본 간단한 자기유지 회로 입니다. 회로도는 '상하'로도 그릴 수 있고, '좌우'로도 그릴수 있습니다. 그리고 항상 회로도는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읽는 버릇을 들여야 합니다. ​ 아래의 회로도는 상하로 그린것입니다. 위 회로도 처럼 상하로 그린 회로의 경우 위의 + 선에서 아래의 - 선으로 전기가 흐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그리고 R1이라는.. 2020. 4. 21.
제어기초(1) - A접점 B접점 C접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어에 있어 기초인 각종 접점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합니다. ​ 전기나 계장, 제어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접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 똑같은 접점이라도 무접점이냐 유접점이냐, 혹은 도면을 그리는 사람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 아주 미세하게 조금씩 차이가 있어 혼란스러웠던 기억이 있을겁니다. ​ 그래서 이러한 기초이론들은 외우기보다는 이해를 해야합니다. (전반적인 느낌이 이런거구나 라는 느낌이 와야할때 까지 수많은 설명들을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먼저 접점에 대해 얘기해 보겠습니다. 접점이란 문자 그대로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부분을 얘기합니다. 접하는 점이라는 얘기인거죠. ​ 그럼 이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점 중에서 원래 떨어져있다가 사람이 스위치 누르듯이.. 2020. 4. 18.
Hard wiring 과 Communication PLC에서 데이터를 외부와 주고 받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Hard wiring 과 communication이 그 두가지 방법이죠. 사실 이건 PLC에 국한된 내용은 아닙니다. DCS, DDC, INV 및 각종 Analyzer등 거의 모든 설비가 비슷합니다. ​ ​ Hard wiring type은 말 그대로 각 Data point 별로 따로따로 cable을 연결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장점은 100개의 point가 연결되어 있으면 그 중에서 한 포인트가 고장나거나 한 케이블이 문제가 생겨도 나머지 point들은 정상 동작하기때문에 위험도가 낮다는 점이 있고, 반대로 단점은 100개의 point를 전부 개별로 연결해야 하니 PLC의 경우 I/O Card 수량과 Cable이 많이 들어서 구성하는 비.. 2020.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