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계장61 Thermocouple (써모커플) 오늘은 써모커플(Thermocouple)에 대해 자세히 얘기해볼까 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얘기했던것과 같이 써모커플은 열전대(열전쌍)라고 불리는 온도센서의 한 종류입니다. (자료를 찾아보니 열전대는 일본식(마주할 대)으로 부르던 것을 그대로 사용해서 그렇다고 하고, 의미를 한문으로 표현하고 중국식(짝 우)으로 풀이하면 열전우가 된다고 합니다. 또 우리식으로 얘기하자면 두개가 한 짝을 이루니 열전쌍이 되는것 같네요. 그냥 의미만 통하면 될것 같습니다. 저는 써모커플이나 T/C로 부르는게 편하네요. ^^) 1. 제벡효과 써모커플은 제벡효과를 이용한 온도검출 센서입니다. 제벡효과는 1821년 Thmas Johann Seebeck이 발견한 효과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폐쇄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두개의 .. 2021. 2. 25. RTD (측온저항체) Instrument 세번째 시간!! 온도센서 두번째 시간으로!! RTD에 대하여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RTD는 서미스터와 함께 측정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전기적 저항변화를 이용한 온도센서로 정확도와 반복성, 안정성이 굉장히 뛰어납니다. 이 제품은 Thermocouple과 함께 수십년간 실험실 및 산업공정에서 온도 측정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1. 측정원리 RTD는 위에서 이야기한것과 같이 온도 변화에 따라 측온체의 저항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하는 온도센서입니다. 2. RTD 구조 RTD의 저항소자, 센서부는 굉장히 약합니다. 그래서 프로브형태로 만들어 이용하는데, RTD프로브내의 소자 구조는 여러가지가 사용되어져 오면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다가 근래 들어서 산업용으로는 크게 권선형과 박만형 두가지로.. 2020. 5. 3. Temperature Sensor 오늘은 온도센서에 대해서 얘기해 볼까 합니다. 기본적으로 공정제어의 3대요소가 유량, 온도, 압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훨씬 많은 계측제어요소(속도, 밀도, 무게 etc...)들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3대요소가 위 3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위 세가지 요소의 Instrument에 대해서 정리 볼까 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 온도에 대해서 얘기해 보려합니다. 오늘은 온도센서의 종류와 간단한 원리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온도센서의 종류 온도센서의 종류는 1) 열전대 (Thermocouple) 2) 측온저항체 (RTD) 3) 서미스터 (Thermistor) 4) 바이메탈 (Bi-metal) 6) etc.... 등이 있습니다. 2. 각 온도센서의 원리 1) 열전대 (The.. 2020. 5. 3. 제어기초(5) - 인터록(후입우선회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터록회로 중에서 후입우선회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선입우선회로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 https://mech19.tistory.com/35?category=809294 제어기초(4) - 인터록(선입우선회로) 오늘은 자동제어에 있어 자기유지와 쌍두마차인 인터록에 대해서 얘기해 볼까 합니다. 자기유지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https://mech19.tistory.com/28?category=809294 제어기초(2) - 자.. mech19.tistory.com 바로 회로도부터 보겠습니다. 선입우선 회로와의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네 맞습니다. 상대릴레이 B접점의 위치가 바뀌었습니다. 그럼 어떻게 동작하는지 한번 보겠습니다. .. 2020. 4. 28. 제어기초(4) - 인터록(선입우선회로) 오늘은 자동제어에 있어 자기유지와 쌍두마차인 인터록에 대해서 얘기해 볼까 합니다. 자기유지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https://mech19.tistory.com/28?category=809294 제어기초(2) - 자기유지 오늘은 제어기초 두번째 시간입니다. 지난번에 얘기한 A접점과 B접점을 이용하여 자동제어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자기유지 회로를 구성해 볼까 합니다. 자기유지라는 얘기는 많이 들어 보셨을 것으로 생각이.. mech19.tistory.com 먼저 인터록을 네이버 어학사전에 검색해 보면 '서로 맞물리다' 라는 뜻으로 나옵니다. 서로 맞물리다. 서로서로 영향을 주다. 이러한 뜻이죠. 인터록회로도 바로 저런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바로 간단한 회로를 .. 2020. 4. 25. 제어기초(3) - A접점 B접점 C접점 기기 앞서 제어기초(1)의 포스팅에서 A접점, B접점, C접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mech19.tistory.com/21 제어기초(1) - A접점 B접점 C접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어에 있어 기초인 각종 접점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합니다. 전기나 계장, 제어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접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똑같은 접점이라 mech19.tistory.com 이제 이러한 접점들에 실제로 어떤 기구들이 이용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스위치류 입니다. 1. PB (Push button) 이런 모양의 버튼을 보신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런 버튼을 푸쉬 버튼이라고 하고, A접점이나, B접점기호와 더불어 PB라고 쓰며 많이 사용합니다. 종류도 다양하게 많이 있습니다. 아래 표를.. 2020. 4. 25.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