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언어기초37

C언어 if - else 문 ( else if 문 ) 자 지난시간에는 if문의 기본 문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았습니다. 오늘은 이어서 if else문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else는 영어로 그 외에, 그 밖에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C언어에서는 앞선 if문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 를 나타냅니다. 즉 , 앞에 있는 if문의 결과가 0(거짓)일 때 수행해야 할 명령을 else문에 작성하면 되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바로 예문을 통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if else 문 위 프로그램에서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바로 else 문이 사용된 부분입니다. if문이 종결된 다음 바로 else문이 시작되는데 else문에는 따로 조건을 명시하지 않고 바로 중괄호를 열어 실행될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습니다. 이것은 if문에 명시된 조건이 .. 2022. 9. 19.
C언어 if 문 자 오늘은 본격적인 C언어의 문법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바로 if문 입니다. if문은 개발에 관심이 없으신 분들도 많이 들어보셨을 정도로 유명합니다. if 어쩌고 저쩌고 블라블라블라..... 영화나 드라마에도 많이 나오죠. 그만큼 기초적이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본 문법입니다. 전혀 어렵지 않으니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if문 if는 영어로 우리말 뜻풀이를 해보자면 만약에... 정도가 됩니다. 즉 "만약에 X라면 Y를 해라." 이러한 프로그램이 if문인거죠. 쉽죠? 물론 중복으로 사용하고 예외사항 처리등의 내용이 더 있지만 기본적인 골격은 "만약에 X라면 Y를 해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그럼 바로 예제를 하나 볼까요? 정말정말 간단한 예제입니다. 위 부분은 정수타입의 변수.. 2022. 9. 15.
문자 데이터 활용 (문자의 입력과 출력) 이전시간에 변수의 선언과 출력에서 변수를 선언하고 정수 데이터를 대입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시간에는 변수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까지 배웠었죠. 기억이 잘 안나시거나 처음 방문하시는 분이라면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mech19.tistory.com/124 변수 선언과 출력 자 오늘도 이 새까만 도화지에서 시작해 봅시다. 지난시간에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간단히 사용도 해보았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출력하는 법에 대해 mech19.tistory.com https://mech19.tistory.com/126 변수의 출력 다음은 데이터 입력!! 이전 시간까지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또 변수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2022. 9. 13.
연산의 우선순위 이제까지 우리는 몇가지 연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대입연산, 산술연산, 비트연산 등등을 알아보았죠. 그런데 혹시 기억하시나요? 우리가 초등학교 다닐 때 배웠던 사칙연산이나 방정식에도 계산의 순서가 있었죠? 그렇듯이 C언어에서 프로그램이 구동할 때도 연산의 순서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것을 연산의 우선순위라고 합니다. 오늘은 이 연산의 우선순위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두괄식으로 바로 표부터 하나 보고 시작하겠습니다. 연산 순위 연산자 연산방향 1 ( ) 함수호출 왼쪽 우선 [ ] 배열 첨자 (expr)++ 후위 증가 연산자 (expr)-- 후위 감소 연산자 . 구조체/공용체 멤버 접근 → 포인터로 구조체/공용체 멤버 접근 2 ! 논리 NOT 오른쪽 우선 ~ 비트 NOT sizeof 자료형 크기 .. 2022. 9. 7.
비트연산자 자 오늘 배워볼것은 비트연산자 입니다. 간단하게 비트연산자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심볼 연산자 종류 & AND연산자 | OR연산자 ^ XOR연산자 ~ 반전연산자 > 쉬프트연산자 &(AND연산자)와 |(OR연산자)는 이미 알고 계신분들이 많으실거라 생각합니다.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011 & 1111 = 1011 즉, 둘다 1이어야만 결과값이 1, 그렇지 않으면 결과값이 0이되는 연산자 입니다. 반대로 OR연산자는 둘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값이 1, 둘다 0이면 결과값이 0이되는 연산자 입니다. 1011 | 1111 = 1111 이 되겠지요. 그럼 ^(XOR연산자)는 무엇일까요? 먼저 OR연산을 한 뒤에 반전값을 출력하는 연산자입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 OR연산을 하였.. 2022. 9. 5.
대입연산자, 산술연산자 자 이전시간까지 우리는 변수를 선언하여 변수에 어떠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변수의 어떠한 데이터를 출력해보았습니다. 그럼 변수에 저장한 데이터를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그 첫시간으로 대입연산자와 산술연산자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1. 대입연산자 사실 대입연산자는 여러분들도 이미 알고 있습니다. 바로 "=" 입니다. 변수를 선언할 때 우리는 이라고 작성했었습니다. 여기서 "="이 바로 대입연산자입니다. 그래서 의 코딩의 의미는 "정수형 변수 a에 10을 대입한다"이며 이로써 우리는 대입연산자의 정의가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대입한다"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간단하죠? 그리고 아래와 같은 코딩을 작성했다고 가정했을 때 대입연산자를 아래와 같이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대입할 곳이 왼쪽에 위치해야 .. 2022. 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