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dress2

CIMON 이더넷통신 통신블록 설정 (1) 오늘은 CIMON의 틍신블록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CIMON의 I/O 디바이스를 설정할때 이더넷통신을 하려면 통신블록 설정을 해야합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LS산전 PLC XGB시리즈와 FEnet프로토콜을 이용한 이더넷통신시에 통신블록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필수 요점!!!!! 스테이션 설정에서 PLC CPU 종류는 XGB를 설정해야 합니다. CPU종류마다 adress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꼭 자신이 사용하는 PLC기종을 확인해야 합니다. ​ 1. M adress M adress는 PLC의 내부 adress 주소입니다. (즉 PLC가 내부에서 연산할때 주로 사용하는 가상의 adress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XGB는 M adress가 16진수 체계입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이.. 2020. 4. 16.
PLC(HMI) Adress / Tag 기본개념 PLC의 가장 기본 개념인 ADRESS(주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LC란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자로 입력받은 데이터를 계산하여 제어상대기기에 출력신호를 보내어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뜻합니다. 본 포스팅을 보러 오신분의 경우 PLC나 제어, 혹은 계장에 대해서는 완전 초보이실듯 하여 부드럽고 편안하게 읽으실 수 있는 내용으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 ​ PLC의 기종 혹은 메이커마다 이 ADRESS를 부르는 이름이 다른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TAG(태그)라고 부를때도 있고, SYMBOL(심볼)이라고 부를때도 있습니다. DEVICE라고도 부르는군요. ​ 저는 adress(주소)라고 부르는것을 좋아하는데, 이것은 우리가 PLC를 사용할때 ​ 메모리의 용량을 사용.. 2020.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