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차단기용량3

전기 설계 7 - 전기 판넬 설계 #4 (Three Line Diagram, Schematic Diagram) 오늘은 MCC의 Three Line Diagram과 Outline Diagram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시간에 Load Center의 Single Line Daigram과 Outline Daigram, Schematic Daigram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혹시 처음 오신 분들은 한번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설계의 큰 방향은 먼저 Load List로 부하의 종류와 크기를 정리한 다음 Single Line Diagram으로 부하 및 전송선로의 보호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그걸 Three Line Diagram과 Schematic Daigram으로 좀 더 명확하게 하는 한편 어느 정도의 공간이 필요한지 파악하고, 실제 판넬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인하고 판넬 사이즈를 발주처 및 사업주와 .. 2022. 8. 8.
차단기 용량 선정 - 고장계산 #2 오늘은 차단기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아주 중요한 정격차단용량(정격차단전류)을 계산해 보려고 합니다. 예전에 이 내용에 대한 이론을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아래 포스팅 참조) https://mech19.tistory.com/86 차단기 용량 선정 - 고장계산 #1 오늘은 차단기의 용량 선정시에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인 정격차단용량 (정격차단전류)를 선정해 보려고 합니다. 그럼 정격차단용량 (정격차단전류)을 선정할때 필요한 고장전류 계산법에 대하 mech19.tistory.com 오늘부터 위 포스팅내용의 이론을 바탕으로 직접 예시를 들어가며 계산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오늘은 %Z법(퍼센트임피던스법)과 옴법을 비교하여 %Z법(퍼센트임피던스법)의 편리함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천천.. 2021. 12. 15.
차단기 용량 선정 - 고장계산 #1 오늘은 차단기의 용량 선정시에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인 정격차단용량 (정격차단전류)를 선정해 보려고 합니다. 그럼 정격차단용량 (정격차단전류)을 선정할때 필요한 고장전류 계산법에 대하여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 차단기를 설계할때 정격전압, 정격용량, 정격전류등과 함께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가 바로 이 '정격차단전류 (정격차단용량)' 입니다. ​ 차단기에게 있어 정격차단전류의 값이 가지는 의미는 선로나 전기회로상에 사고가 났을경우 회로 및 선로에 흐르게 되는 거대한 고장전류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한계치를 의미합니다. (만약 계산을 잘못하여 차단기의 정격차단용량보다 큰 고장전류가 흐를경우 차단기가 정상작동하지 못하고 사고가 확산되어 설비에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굉장.. 2021. 3.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