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설계기초4

전기 설계 1 - Load List (부하 리스트) 오늘은 전기설계에 대해 알아 보는 첫번째 시간으로 Load List (부하 리스트)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제 블로그에는 전기와 계장, 그리고 제어와 통신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요즘 최근들어 너무 제어와 계장에 대한 내용만 다룬 것 같아서 전기에 대해서 어떤 내용을 다루어 볼까 생각하다가 설계의 순서와 내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루어 보기로 했습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입니다. 혹시 전기 설계의 대략적인 순서를 쭉~ 한번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간략하게 나와있습니다. https://mech19.tistory.com/155 전기 설계 - DCL (Document List) 오늘은 전기설계에 대한 내용을 시작하는 첫날로 설계도서(도면) 목록인 DCL (Docume.. 2022. 6. 29.
간선 차단기 용량 /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 선정 #2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던 저압간선의 차단기용량과 케이블사이즈를 설계하는 방법을 직접 실제로 계산하여 진행해 보겠습니다. 아래의 이전 포스팅을 통해 간선 설계의 절차에 대해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mech19.tistory.com/84 간선 차단기 용량 /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 선정 이번시간에는 간선의 차단기 용량과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선은 여러개의 분기회로가 모여 더 많은 전력을 전달하는 분기회로 상위단의 회로를 의미합니다. mech19.tistory.com 분기회로 설계 때 사용했던 아래의 예시모델을 좀 더 확장해서 사용해 보겠습니다. ​ 분기회로때와 달라진점은 MCC전단에 LOAD CENTER가 추가되었다는 점입니다. ​ 이전 포스팅에서는 전압강.. 2021. 3. 25.
간선 차단기 용량 /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 선정 #1 이번시간에는 간선의 차단기 용량과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선은 여러개의 분기회로가 모여 더 많은 전력을 전달하는 분기회로 상위단의 회로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당연히 분기회로보다 케이블은 더 굵고, 차단기는 더 크겠지요. 그렇기 때문에 한 분기회로의 사고가 다른 분기회로로 전파되지 않도록, 또는 분기회로의 사고가 간선의 상위단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혹은 그 반대로 간선의 사고가 분기회로로 전파되지 않도록 설계를 꼼꼼하게 잘 해야 합니다. 먼저 분기회로의 차단기와 케이블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들을 참조해 주십시오. mech19.tistory.com/83 분기회로 (저압) 차단기 용량, 케이블 사이즈 (전선굵기) 설계 이버 포스팅에서는 저압 분기회로에서 차단기와 케이블 선정을.. 2021. 3. 24.
전기 설계란? 오늘은 전기 설계에 대해서 얘기해 볼까 합니다. (편안하게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볼께요.) 전기는 꽤 방대한 분야 입니다. 옛날말로 하자면 강전 분야와 약전 분야로 나눌 수 도 있고, 플랜트와 일반건축전기으로도 나눌 수 있고, 전기기기와 전기설비로 나눌 수 도 있고,,,, 여튼 전기가 없는 우리의 삶을 생각도 할 수 없듯이 전기는 굉장히 여러분야에 사용되고 그만큼 설계의 세부내용도 각기 다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그런데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학교 다닐때 보면 농구 잘하는 애가 축구도 곧잘하는것 처럼, 기본에 충실하고 기초가 탄탄하면 어느 분야에서든 어느정도 기본은 할 수 있고, 또 심화부분도 금방 깨우칠 수 있다고요.... ​ 저는 플랜트 업계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 전기 설계도 하고, 시공도 .. 2021.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