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장/계장 설계

계장 설계 4 - IO LIST 설계 #2

by 쪼렙엔지니어 2021. 12. 21.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IO LIST 작성법 두번째 시간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IO LIST를 작성할때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를 알아보았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무엇을 작성할 것인가를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의 앞내용은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mech19.tistory.com/93

 

계장 설계 3 - IO LIST #1

오늘은 계장설계 3번째 시간으로 IO LIST 작성법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처음 오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들을 먼저 보고 오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여기서 부터는 본격적으로 머리를 좀

mech19.tistory.com

 

 

 

 

1. Device의 종류

IO LIST에는 PLC 나 DCS에 연결되는 모든 POINT가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통신으로 연결될 경우 발주처와 협의하여 IO LIST에 포함시킬지 아니면 따로

Communication List를 작성할지 정하면 됩니다.

크게 분류해 보자면, 대형기기, 중형기기, 소형기기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예를 들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대형기기

대형기기로 분류할 수 있는 기기류는 PUMP나 FAN같은 전기기기들이 주를 이룹니다.

이러한 전기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MOTOR를 컨트롤 해야 하기 때문에

MCC나 INVERTER를 통해서 구동되고,

우리는 이 MCC나 INVERTER를 PLC나 DCS와 연결하여 제어하게 됩니다.

2) 중형기기

중형기기로 구분지을만한 것들에는 VALVE와 DAMPER류가 주를 이룹니다.

기기의 사이즈만 보자면 큰 VALVE나 DAMPER들은 PUMP나 FAN 못지않게 큰것들이 많지만

기기의 사이즈만 컸지 공압밸브류들은 솔밸브를 달아서 DC24V로도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PUMP나 FAN처럼 고전압이나 대전류를 제어하는것은 아닙니다.

3) 소형기기

소형기기로 분류할만한 것들에는 Field instrument들이 주를 이룹니다.

Pressure transmitter이나. Temp. transmitter, Flow meter같이 Analog종류부터

각종 Pressure Switch나 Temp. Swithc등 Digital switch류들까지 굉장히

다양합니다.

 

 

 

 

2. Device별 Point

이제 각 기기별로 어떤 point가 있고 그 수량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것을 결정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작업으로, point 종류별로 수량이 결정지어져야지

PLC card수량이 결정되고, 그에따라 Pnael 사이즈나 용량도 결정되어 지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설계작업 중 하나 입니다.

 

1) PUMP, FAN 등 MCC

DI : 4EA 

Run status, Stop status, Fault status, Local/Remote

- Run status와 Stop status는 둘 중 한포인트만 받아서 혼용가능.

(예를 들자면 Run이 아닐때는 Stop으로 인식하는 방법)

 

DO : 2EA 

Start cmd, Stop cmd

- Remote reset을 넣을 수 있지만, 보통 MCC panel로 직접가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 후

reset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에 불포함.

 

2) Inverter panel

DI : 4EA 

Run status, Stop status, Fault status, Local/Remote

- 기본적인 것은 MCC와 동일

- 단, Inverter의 경우 Fault의 종류를 세분화하여 받을 수 있음.

그렇기 때문에 미리 발주처와 협의하여 Fault의 종류 만큼 포인트 수량을 증가시켜야 함.

- Run status와 Stop status는 둘 중 한포인트만 받아서 혼용가능.

(예를 들자면 Run이 아닐때는 Stop으로 인식하는 방법)

DO : 2EA 

Start cmd, Stop cmd

- 기본적인 것은 MCC와 동일

- Remote reset을 넣을 수 있지만, 보통 MCC panel로 직접가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 후

reset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에 불포함.

AI : 1EA 

Hz or RPM feedback

- Inverter로 모터의 속도제어를 할때 현재 얼만큼의 속도인지 Feedback을 받는 포인트.

해당포인트는 Hz가 될 수도 있고, RPM이 될 수도 있고, 발주처와 협의하기 나름임.

AO : 1EA 

Hz or RPM control

- Inverter로 모터의 속도제어를 할때 사용하는 포인트.

 

3) Pneumatic valve

DI : 2EA 

Open status, Close status

- Valve가 open상태인지 close상태인지 확인하는 접점.

DO : 2EA 

Open cmd, Close cmd

- Valve에 open & close 명령을 내리는 output point

- 단, Sol valve가 single sol 인 경우에는 output point가 한포인트 임.

 

4) Pneumatic Damper

DI & DO 3)의 Valve와 동일.

 

5) MOV (Motor operated valve)

DI : 4EA 

Open status, Close status, Fault status, Local/Remote

- MOV의 경우 모델이나 브랜드에 따라 Fault의 종류가 여러가지인것도 있으므로,

발주처와 협의가 필요함.

DO : 2EA 

Open cmd, Close cmd

 

6) Instrument

- Instrument는 기본적인 PT나 TT같은경우 AI 1point로 정리가 되지만

FT(Flow transmitter)나 MT(Mass transmitter)의 경우 브랜드와 모델마다 Point 수량이 다르기 때문에

발주처와 협의가 필수적이고, Manual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 TT의 경우 transmitter를 사용하지 않으면 RTD나 T/C card를 사용하여

다이렉트로 결선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 Point들은 DI, DO, AI, AO로 분류하지 않고

별도로 분류하여 계산.

이렇게 정리하고 전체 각 포인트 종류별로 수량을 정리하여

최종적으로 각 Card수량을 정하게 됩니다.

그때는 스페어를 20%가량 포함하여 계산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ject마다 시방서 기준으로 상이함.)

오늘은 IO LIST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LOGIC & LOOP에 대해서 이야기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