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장/계장 설계

계장 설계 1 - Instrument List

by 쪼렙엔지니어 2021. 3. 4.
반응형

전기계장파트에서 계장설계는 학교에서 배운적이 없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회사에 입사하게 되면 제일 당황하는 분야이기도 하죠.

PT가 뭔지 TT가 뭔지 FT가 뭔지... 감도 안오고...

앞으로 저 스스로에 대한 공부와 정리의 의미로 계장설계에 대한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오늘은 그 첫시간으로 Instrument list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먼저 첫 마음가짐으로 정답은 없다! 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것은 Instrument List에 국한된 얘기는 아닙니다.

계장설계는 가이드라인 제시가 있지만

현장경험에 기반한 여유율조정등의 폭이 전기설계에 비하여 훨씬 넓고 방대하게 적용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프로젝트의 시방서등을 잘 참조하고, 레퍼런스 프로젝트등을 잘 살펴보아야 하며,

또 발주처 담당자와 긴밀한 협의를 통하여 일을 진행해야 합니다.

먼저 Instument List 서류의 양식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Instrument list(인스트루먼트 리스트)는 Instrument index(인스트루먼트 인덱스)라고도 불립니다.

1. Instrument list 양식

Instument list 양식이 명확하게 정해진것은 없습니다.

프로젝트 마다 발주처의 양식을 따르는 경우도 있고, 공급자의 양식을 따라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먼저 발주처의 의견을 물어보고, 특별한 양식이 별도 지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최초 설계도서 제출시에 공급자의 양식으로 제출하여 세부항목을 조율하면 됩니다.

그럼 몇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전체적인 양식의 모습만 언급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양식은 엑셀로 작성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이유는 반복되는 표현이라던가 아니면 표 형식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경우 엑셀이 제일 사용하기 편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관급공사라던가 공기업 또는 공사의 경우 한글을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굉장히 불편해요...;;;)

양식에 대한 전체적인 아우트라인을 보여드리는 이유는 발주처의 제안양식도 없고, 공급사도 신생업체로 보유양식이 없을경우 대충 이런모습으로 만든다는 것을 알려드리기 위해 보여드린 것입니다.

이제 항목별로 어떤 어떤 항목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Instrument list 항목

Instrument list의 항목은 해당 프로젝트에 사용된 Instrument에 대한

대략적인 개요를 기술할 수 있도록 짜여져 있습니다.

Instrument의 상세 스펙을 확인 할 수 있는 도서는 Instrument Data sheet로 따로 있기 때문에

Instrument list에서는 상세 스펙을 전부 나열한다기 보다 사용된 전체Instrument의

수량이나 상호 관계 혹은 간략한 정보 정도만을 기술하면 됩니다.

이에 따르면 기본적은 항목은 TAG, SERVICE, INSTRUMENT TYPE, RANGE, OPERATION CONDITION,

LINE SIZE, CONN SIZE, P&ID DWG No, ELEMENT TYPE, MAKER, REMARKS등이 포함되면 됩니다.

그럼 이제 하나하나 항목들을 짚어보겠습니다.

3. TAG

TAG NUMBER는 크게 고민할것 없습니다.

P&ID의 Instrument Tag 번호를 따라가면 됩니다.

보통 Instrument list를 작성할때 가장 선두에 오는 내용입니다.

4. SERVICE

SERVICE는 DESCRIPTION이라고도 부릅니다.

이것은 해당 INSTRUMENT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와 역할에 대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보통 대형설비일수록 작성하다보면 타INSTRUMENT와 중복되는 경우가 많아서

고민이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럼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P&ID 일부분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위에 보이는 FAN을 1번 소각로 BOILER의 첫번째 F.D FAN이라고 했을때,

PIT-7750은 F.D FAN 토출구 쪽에 위치하고 있고,

AIR의 압력을 측정하고 있으므로 SERVICE(DESCRIPTION)은 아래와 같이 표기할 수 있습니다.

BOILER No.1 F.D FAN OUTLET AIR PRESSURE (TRANSMITTER)

이해가 되시나요??

뒤에 TRANSMITTER은 적는 경우도 있고, 안적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는 칸이 부족할 경우 적지 않고 칸이 넉넉하면 적는 편입니다.

만약 흡입구쪽 TI-5400의 SERVICE(DESCRIPTION)의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BOILER No.1 F.D FAN INLET AIR TEMPERATURE (GAUGE)

이해가 되시나요??

이런건 직접 해보고,

레퍼런스 프로젝트의 P&ID와 INSTRUMENT LIST 대조해보며 차근차근 이해해 보셔야 합니다.

5. INSTRUMENT TYPE

INSTRUMENT TYPE은 별것 없습니다. PRESSURE TRANSMITTER는 PT, INDICATOR가 달려있으면 PIT

TEMP. TRANSMITTER은 TT, 이것도 INDICATOR가 달려있으면 TIT,

FLOW TRANSMITTER은 FT, 이것도 INDICATOR가 달려있으면 FIT 등등

이렇게 작성하시면 되고, 대부분 이미 P&ID에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대로 따라가시면 됩니다.

6. OPERATION CONDITION

이내용은 우리가 설계한다기 보다 공정파트에서 MASS BALANCE라는 설계도서를 설계할때 나온 데이터를

옮겨적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INSTRUMENT가 배관에 설치된다고 했을때 그 설치되는 곳의 상태를 적는것이지요.

예를 들어 PT가 물이 흐르는 배관에 설치될때 그 배관에 흐르는 물의 압력, 온도, 유량조건들을 작성하면 됩니다.

즉, INSTRUMENT 자체의 정보보다는 설치위치의 정보라고 생각하십시오.

상세하게 작성할때는 MIN/NORMAL/MAX VALUE를 작성합니다.

7. RANGE

INSTRUMENT의 RANGE를 기입하는 곳입니다.

INSTRUMENT의 RANGE는 상기항목인 OPERATION CONDITION중에서

해당 INSTRUMENT가 담당하는 파트의 MAX값 기준으로 여유율을 적용하여 설계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PT가 설치되는데 그곳의 압력이 MAX 10BAR까지 올라간다고 하면 20%정도 여유율을 주고

RANGE는 0~12BAR로 셋팅합니다.

다만 OPERATION CONDITION 기준으로 NORMAL VALUE가 너무 높거나 너무 낮으면

그에 따라 조금씩 조정이 필요합니다.

8. LINE SIZE, CONNECTION SIZE

LINE SIZE는 P&ID 상의 INSTRUMENT가 설치되는 위치의 배관이나 덕트의 사이즈를 표기합니다.

CONNECTION SIZE는 배관이나 덕트와 INSTRUMENT가 연결될때

연결되는 nozzle이나 nipple의 사이즈를 표기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PT의 연결을 1/2인치로 해야 한다면, 15A나 1/2"로 표기 하면 됩니다.

9. P&ID DWG No.

해당 INSTRUMENT가 표기되어 있는 P&ID 도면 번호를 표기하면 됩니다.

간혹 INSTRUMENT 도면 번호도 표기해 달라고 할때가 있습니다.

그럴때는 한칸을 더 만들어 표기해 주면 됩니다.

10. ELEMENT TYPE

해당 INSTRUMENT의 센서셀 타입을 표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TEMP. TRANSMITTER라고 하면, 이것이 RTD인지, Thermo couple인지를

알아볼 수 있게 표기를 해주면 됩니다.

상세하게 적는다면, RTD에서도 PT100옴인지, PT1000옴인지 그리고

Thermo couple이라면 K타입인지, E타입인지 등 까지도 작성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정도 작성을 하고 추가적으로 INTRUMENT MAKER라던가.. 기타 예외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을 기입해두면 됩니다.

오늘은 계장설계에 대한 첫내용으로 INSTRUMENT LISR (INSTRUMENT INDEX)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PLC (DCS) I/O LIS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