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장/계장 설계

계장 설계 3 - IO LIST 설계 #1

by 쪼렙엔지니어 2021. 12. 21.
반응형

 

오늘은 계장설계 3번째 시간으로 IO LIST 작성법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처음 오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들을 먼저 보고 오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여기서 부터는 본격적으로 머리를 좀 써야 합니다.

그래도 IO LIST 작성 그 자체는 크게 어려운것은 없으니 찬찬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양식

먼저 양식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양식은 이전포스팅의 INSTRUMENT LIST작성법 이나

INSTRUMENT DATA SHEET작성법 때와 마찬가지로

완벽하게 규격화 되어있는것은 없습니다.

필요한 정보만 정확히 표현하여 전달할 수 있으면 충분합니다.

제가 사용하던 양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 양식에서는 DI, DO, AI, AO끼리 구분하여 정리를 하여 사용하였고,

아래 양식에서는 설비별로 구분하여 TAG순서대로 구분하여 정리를 하여 사용하였습니다.

 

 

 

2. 작성 항목

두번째로 작성해야 할 항목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I/O Type

I/O는 input, output의 약자로 들어오고 나간다라는 의미입니다.

즉 PLC나 DCS를 기준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신호의 종류를 의미합니다.

PLC나 DCS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PLC와 DCS의 I/O CARD를 이용해야 하고 I/O CARD의 종류는

크게 DI(digital input), DO(digital output), AI(analog input), AO(analog output)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I/O card에는 Thermo Couple과 RTD를 Transmitter없이 다이렉트로 연결하기 위한

T/C card와 RTD card가 존재하기 떄문에 설계상 Transmitter없이 다이렉트로 연결하는 것이

더 유리한 상황이라면 그렇게 진행하면 됩니다.

2) SIGNAL

전기적으로 어떤 신호를 내보내거나 받아야 하는지를 표현하는 항목입니다.

전체적으로 DC 24V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라 가정하고 일반적인 상황 기준으로 나누어 보면,

DI : DC 24V

DO : DRY CONTACT or DC 24V

AI : 4 ~ 20mA or 0 ~20mA

AO : 4 ~ 20mA or 0 ~20mA

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왜 위와 같이 나뉘게 되는지는 따로 포스팅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3) Range

이 항목은 보통 AI, AO에만 작성을 합니다. (RTD나 T/C도 포함)

왜 그런지 찬찬히 생각해 보면,

DI와 DO는 ON 또는 OFF로만 이루어진 bit signal이기 때문에

Range자체가 없습니다

그래서 AI에는 해당 INSTRUMENT에 맞는 RANGE를 기입하면 되고,

AO에는 PLC에서 Field Device를 컨트롤 하는 포인트이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통 0 ~ 100%로 작성합니다.

4) Function

PLC나 DCS에서는 외부기기와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컨트롤러 내부에서 여러가지 연산이나 동작을 하는데,

이것을 표현하는 항목입니다.

C : control

I : Indicating

R : Recoding

T : trending

A : Alarm

Z : Plant protection

ER : SOE

5) SET point

제어 부분에서는 Input signal을 이용하여 Alarm이나 Interlock 동작을 발생시켜야 하는데

Alarm이나 Interlock이 언제 발생해야 하는지를 정해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압력트랜스미터의 Range가 0 ~ 10 bar인데 normal condition이 5bar정도이면

6~7bar정도에서 alarm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설비의 이상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때 Set point는 6bar로 기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Set point에는 LL (LOW LOW), L(LOW), H(HIGH), HH(HIGH HIGH) 정도로 나눌수 있으며

normal condition기준으로 낮으면 LL나 L, 높으면 HH나 H로 지정합니다.

아울러 LL나 HH는 설비의 Shut down point로도 많이 사용되며

L와 H는 LL와 HH의 사전예비알람의 개념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6) FROM/TO

Signal이 어디서부터 어디로 흘러가는지를 표현합니다.

예를들어 PLC와 MCC의 연결인지, PLC와 LOCAL(INSTRUMENT)의 연결인지 등등

알아볼 수 있게만 표현하면 됩니다.

7) 기타

1) ~ 6)항목까지..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되는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 항목외에도 TAG 넘버는 필수로 들어가야 하고, P&ID나 LOGIC&LOOP도면넘버등은

들어가면 좋습니다.

나머지 기타항목은 발주처와 공급처가 협의하여 추가기입하면 됩니다.

이제까지 I/O LIST작성시에 알아야할 양식이나 항목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끝이 아니고 어떤내역을 LIST화 시켜야 하는지가 남아 있습니다.

가장 중요하지요.

포스팅이 너무 길어질 수 있으니 아래 포스팅에서 이어서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mech19.tistory.com/94

 

계장 설계 4 - IO LIST #2

IO LIST 작성법 두번째 시간입니다. ​ 어제 포스팅에서는 IO LIST를 작성할때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를 알아보았다면 오늘 포스팅에서는 무엇을 작성할 것인가를 알아보겠습니다. ​ 지난 시간의

mech19.tistory.com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