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LC/Siemens (S7)

SIEMENS PLC Simatic Manager 프로그래밍 기초 - Timer

by 쪼렙엔지니어 2022. 2. 11.
반응형

자 오늘은 Simatic Manger의 Timer(타이머)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어....

타이머, 카운터, 무브, 사칙연산 정도는

기본중의 기본이니까 꼭 알아야 겠죠?

타이머의 종류는 기본적으로 크게 두가지가있습니다.

"On Delay Timer" 와 "Off Delay Timer"가

그 두가지죠.

On Delay Timer (온 딜레이 타이머)는

입력신호가 On되는 순간부터 설정 시간 이후에

타이머의 출력이 On 되는 타이머이고,

Off Delay Timer (오프 딜레이 타이머)는

입력신호가 On되었다가 Off되는 순간부터 설정시간 이후에

타이머의 출력이 Off되는 타이머 입니다.

제일 큰 개념은 위와 같습니다.

그런데 Siemens PLC Step7은 타이머가 좀 더

세분화되어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걸 하나하나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처음 오신 분들은 Simatic Manager 기본적인 사용법을

이전 포스팅들을 통해 학습하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리구요.

검색을 통해서 들어오신분들은 기본적인 사용법을

알고 계신다고 생각하고 진행하겠습니다.

일단 "Program elements"의 "Timer"카테고리를

확인해보면 위와 같습니다.

종류가 상당히 많이 있네요.

하나씩 알아가 볼까요?

1. S_PULSE (Start Pulse Timer)

드래그&드랍해서 "S_PULSE" 타이머를

네트워크(렁)에 추가해 보면

위와 같이 ??? 물음표와 ...점표시가 보입니다.

먼저 박스 상단의 ???물음표에는

타이머 번호를 넣어야 합니다.

그리고 각 단자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S : Set

TV : Timer Value

R : Reset

Q : 출력

BI : Binary Integer (2진수 정수)

BCD : BCD코드(Binary Coded Decimal) (2진화 10진수)

입니다.

하나씩 설정해 보겠습니다.

자 그럼 동작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M0.0이 On되면 입력단자 S는 상승엣지를 검출하여

Timer 출력 Q가 On되어 M1.0은 On이 됩니다.

출력 Q는 Timer Value에 설정된 시간만큼 On을 유지하다가

설정된 시간이 끝나면 출력이 Off됩니다.

(위에서는 5초입니다.)

만약 설정된 시간만큼 입력 M0.0이 On을 유지하지 못하고

Off되면 그 즉시 출력 Q도 같이 Off됩니다.

당연히 M1.0도 따라서 Off되겠죠?

그리고 다시 입력 M0.0이 On되면

출력 Q도 그 즉시 On이 되고,

다시 처음부터 설정한 시간만큼 On을 유지하기 시작합니다.

만약 입력 M0.0이 On 되어

출력 Q가 On 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모두 지나가기 전에

M10.0이 On되어 R(Reset)이 On되면

출력 Q는 그즉시 Off됩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그리고 TV(Timer Value)는

설정할떄 "S5T#"을 써주고

그 뒤에 5초면 "5S", 10초면 "10S"로

작성하면 됩니다.

만약 100초면 "S5T#100S"겠지요.

2. S_PEXT (Extended Pulse Timer)

각 단자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위의 S_PULSE TIMER와 동일합니다.

S : Set

TV : Timer Value

R : Reset

Q : 출력

BI : Binary Integer (2진수 정수)

BCD : BCD코드(Binary Coded Decimal) (2진화 10진수)

동작에 대해서 바로 설명해 보자면

S_PULSE TIMER와 동작도 동일한데,

딱 하나 틀린점이 있습니다.

입력 M2.0이 On되어 입력 S가 상승엣지를 검출하여

타이머 출력 Q가 On되면

TV(Timer Value)에 설정된 시간이 모두 흐르기 전에

입력 M2.0이 Off되어 입력 S가 Off되어도

타이머 출력 Q는 설정된 시간 만큼 출력Q의 On상태를 유지합니다.

이해되시나요?

하지만 만약 입력 M2.0이 On 되어

출력 Q가 On 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모두 지나가기 전에

M11.0이 On되어 R(Reset)이 On되면

출력 Q는 그즉시 Off되는건 동일 합니다.

3. S_ODT (On Delay Timer)

타이머라고 하면 가장 기본적으로 많이 떠올리는

온 딜레이 타이머 입니다.

단자에 대한 설명은 위 두가지 1번 2번 타이머와 동일하니

넘어가겠습니다.

바로 동작설명을 하자면,

M4.0이 On되어 입력 S가 상승엣지를 검출하면

TV(Timer Value)에 설정된 시간(위 예시에서는 10초)이

지난 뒤에 출력Q가 On됩니다.

만약 설정된 시간이 흐르기 전에

M4.0이 Off되면 진행되던 설정시간은 멈추게 됩니다.

그 뒤에 다시 M4.0이 On되면

설정시간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합니다.

4. S_ODTS (Retentive On Delay Timer)

기본적인 단자내용은 동일하니

넘어가고 바로 동작설명을 하겠습니다.

M6.0이 On되어 입력 S가 상승엣지를 검출하면

TV(Timer Value)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 만큼 흐르고

그 뒤에 출력 Q가 On됩니다.

여기서 3번의 S_ODT와 다른 점은

설정시간이 전부 흐르기 전에 M6.0이 Off되어

입력 S가 Off되어도 설정시간 만큼의 진행은

멈추지 않으며,

설정시간 만큼 흐른 뒤에는 출력 Q가 On됩니다.

즉 한번이라도 입력이 On되면 Off가 되더라도

반드시 설정시간이 흐른 뒤에는 출력 Q가 On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멈추거나, 출력 Q를 Off하기 위해서는

M13.0을 On하여 R(Reset)을 On해주어야 합니다.

 

5. S_OFFDT (Off Delay Timer)

이번에는 마지막으로 Off Delay Timer입니다.

기본적인 단자내용은 동일하니

넘어가고 바로 동작설명을 하겠습니다.

입력 M8.0이 On되어 입력 S가 상승엣지를 검출하면

그 즉시 출력 Q도 On됩니다.

그러다가 M8.0이 Off되면 하강엣지를 검출하고

그때부터 TV(Timer Value)의 설정시간 만큼 흐른뒤

출력 Q가 Off됩니다.

만약에 입력이 설정시간만큼 Off를 유지하지 않고

다시 On되면 출력 Q는 계속 On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다시 입력이 Off되면 그때부터 새로

설정시간만큼 흐른뒤에 출력Q가 Off됩니다.

간단하죠??

조금 종류가 많지만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보면

간단한 내용들 입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다음시간에 타이머의 개별 구성요소로

타이머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좋아요) 부탁드리고,

댓글은 다른분들께도 좋은 정보일 수 있으니

공개로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작은 정성이 좋은 포스팅을 생산하는

힘이 된답니다. :)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