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9

Studio 5000 Control Logix programming 기초 2 지난 시간에는 Studio 5000의 시작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았습니다.오늘은 거기에 System의 Configuration을 설정하는 방법을 이야기 해보겠습니다.지난 시간에 아래와 같이 "Logix Designer" 생성까지는 마쳤습니다.혹시 처음 오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먼저 확인하시길 추천드립니다.자 이제 CPU를 제외한 나머지 IO Card를 설정하는 방법을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위 그림과 같이 왼쪽의 "I/O configuration"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New Module"이 보입니다.이것을 선택해 보도록 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Select Module Type"창이 생성됩니다.여기서 "Network card'와 "IO card"등을 모두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그럼 통신.. 2025. 2. 19.
Studio 5000 Control Logix programming 기초 1 자. 오랜만에 포스팅을 시작합니다.오늘은 Allen-Bradley(이하 AB)의 PLC모델인 Control Logix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AB의 PLC에는 "Control Logix, Compact Logix, Micro Logix" 등이 있는데,그 중에서 가장 대형 모델이 Control Logix입니다. (모델 종류에 대해서는 다음에 자세히 이야기 해봅시다.)Control Logix의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는 Studio5000이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AB사의 소프트웨어는 조금 악명이 높은데, 사용자마다 의견이 조금씩 다르겠지만Siemens의 TIA Portal보다도 무겁다는 의견이 많긴 합니다. 그리고 설치도 까다롭구요.설치 이야기를 하다가보면 하루가 다 가기때문에, 그냥 넘어가겠습니다.일단.. 2025. 2. 16.
통신 기초 오랜만에 통신에 대해서 다시한번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통신은 정보를 주고 받는 과정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한 사람이나 기기에서 다른 사람이나 기기로 메시지,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여 해석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통신은 사람 간의 대화, 전화 통화,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무선 통신, 전자우편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통신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규칙이나 규약이 필요하며, 이러한 규칙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합니다. 프로토콜은 통신에 사용되는 규칙들의 집합으로,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지, 데이터를 어떻게 나타낼지, 송수신의 순서는 어떻게 될지 등을 정의합니다. 통신은 현대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 2024. 1. 5.
C언어 공용체 오늘은 공용체에 대해서 간단하고 빠르게 알아보겠습니다. 공용체는 앞서 배웠던 구조체와 비슷한데 약간~ 다릅니다. 우리가 위와 같이 구조체를 하나 선언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럼 메모리상에서 구조체는 순서대로 위치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위치하게 됩니다. 순서대로 int a와 char b가 위치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공용체는 메모리 공간을 공유합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공용체를 선언했다고 가정하면 int a와 char b는 메모리상에서 아래와 같이 위치하게 됩니다. 엥? 이게 뭐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지도 모르겠네요. 하지만 엄연히 C언어의 기능중에 한가지랍니다. 그런데 이렇게 위치하다보니 거의 쓰이는 일이 드물기는 합니다. 위에서 봤던것과 같이 선언하는 형식은 sctruct(구조체)와 동.. 2022. 12. 13.
C언어 구조체 응용 (이중 구조체) 오늘은 이중 구조체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이중포인터를 만들 수 있듯이 구조체도 2중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구조체 안의 구조체 : 이중 구조체 그럼 예제를 바로 한번 보겠습니다. 딱봐도 엄청 간단하죠? 핵심은 위 부분입니다. 먼저 일반적인 구조체를 하나 선언한 뒤에, 구조체를 하나 더 선언할 때 먼저 선언한 구조체를 호출하는 방식입니다. 어려운것 없죠? 이렇게 구조체에서 구조체를 호출하면 아래와 같이 main함수에서 다른 구조체와 같은 방법으로 호출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각각의 멤버를 호출할 때 각 구조체의 이름을 순서대로 둘 다 적어주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실행해서 결과값을 한번 볼까요? 예상대로 잘 실행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혹시 이중 구조체도 되었으.. 2022. 12. 8.
C언어 구조체 응용 (구조체와 함수) 오늘은 구조체에 대해서 알아보는 세번째 시간으로 구조체를 사용자 정의 함수에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조체와 사용자 정의 함수 우리가 사용자 정의 함수에서 함수의 값을 main함수와 주고 받으려면 무엇을 사용 했었는지 기억하시나요? 맞습니다. 포인터 입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포인터가 핵심입니다. 어렵게 배운 포인터를 많이 사용하네요. 그럼 예제를 통해서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예제를 하나씩 설명해 보겠습니다. 먼저 사용자 정의 함수 부분부터 보겠습니다. 사용자 정의 함수 add_f의 인자를 포인터로 설정하였고, 해당 포인터가 가리키는 주소의 데이터를 1 더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정의 함수 입니다. 특별히 어렵거나 난해한 부분은 없죠? 그리고 구조체 부분을 .. 2022. 1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