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9

C언어 구조체 심화 (구조체포인터) 오늘은 C언어 구조체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처음 오신 분들은 아래의 C언어 구조체 기초내용을 포스팅한 것부터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https://mech19.tistory.com/203 C언어 구조체 기초 오늘은 구조체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구조체는 배열과 비슷하게 많은 데이터를 한번에 관리할 때 편리한 기능입니다. 다만 배열과의 차이점은 배열은 데이터의 타입이 한가지로 mech19.tistory.com 간단히 다시 정리해 보자면 구조체는 위와 같은 형태로 선언하며,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멤버를 여러개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조합을 구조체타입명을 지정하는 형태로 정의 하는 것입니다. 즉, 위에서 struct는 구조체를 의미하고, stude.. 2022. 11. 30.
C언어 구조체 기초 오늘은 구조체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구조체는 배열과 비슷하게 많은 데이터를 한번에 관리할 때 편리한 기능입니다. 다만 배열과의 차이점은 배열은 데이터의 타입이 한가지로 고정되는 반면에 구조체는 여러 데이터 타입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럼 바로 예제를 통하여 구조체의 형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조체의 형태 구조체의 가장 기초적인 형태입니다. 프로그램 작성을 시작하고 main함수가 시작되기 전에 struct를 이용하여 구조체를 선언합니다. 구조체는 각 원소의 타입이 제각각인 배열이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배열에서는 배열의 타입만으로 모든 원소의 타입을 알 수 있었지만, 구조체는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조체는 정의할 때 모든 원소의 타입을 명시해 주어야 합니다. 위 부분이.. 2022. 11. 28.
C언어 Function 응용 #2 (사용자 정의 함수) 오늘은 c언어 사용자 정의 함수의 활용법 중에서 함수의 매개변수(인자)를 이중포인터와 2차원 배열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전혀 어려운 내용은 아닙니다. 바로 알아보도록 하지요. 1. 함수에서 이중포인터 사용 먼저 이중포인터를 기억해 내어야 겠네요. 이중포인터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에서 포인터의 포인터 부분 내용을 먼저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https://mech19.tistory.com/193 C언어 포인터 심화과정 (배열과 포인터, 포인터의 포인터) 자~ 포인터 심화과정 3번째 시간입니다. 포인터에 대해서는 조금 익숙해 지셨나요? 사실 포인터가 C언어에서 가장 난해하고 어려운 부분입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 어려운건 mech19.tistory.co.. 2022. 11. 23.
C언어 함수의 원형 오늘은 초초초 간단하게 함수를 좀 더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는 방법 한가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자 위와 같이 sf라는 사용자 정의 함수를 하나 만들어서 사용한다고 가정 해 보겠습니다. 지금은 함수가 하나니까 괜찮은데 실제로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어마어마하게 많은 사용자 정의 함수를 만들어서 사용하게 됩니다. 그럼 우리가 실제로 사용하는 main함수는 저~~~~~~~~~~~~뒤쪽으로 밀려서 보이지도 않게 되겠지요. 이럴 때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어라 처음보는게 생겼습니다. 어라 이건 뭘까요? 네. 바로 이걸 함수의 원형이라고 부릅니다. 이 함수의 원형이라는 것을 main함수를 시작하기 전에 나열해 두고, 실질적으로 함수를 선언하는 것은 main함수 뒤에서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 2022. 11. 21.
C언어 Function 응용 #1 (사용자 정의 함수) 오늘은 C언어의 사용자 정의 함수에 대해 좀 더 다양한 사용법을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지난시간까지 해서 두번에 걸쳐 C언어 function(사용자 정의 함수)에 대해 조금 알아보았었습니다. 혹시 기억이 잘 안나시거나 처음 오신 분들이라면 아래 포스팅을 먼저 참조 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mech19.tistory.com/198 C언어 Function 기초 (사용자 정의 함수) 오늘은 c언어의 Function(함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함수란 무엇인지 다들 잘 알고 계시지요? 어릴 때 많이 배웠습니다. "y=f(x)" 기억나시는지요. 여기서 x에 넣는 값에 따라 y의 값이 mech19.tistory.com https://mech19.tistory.com/199 C언어 Func.. 2022. 11. 16.
C언어 Function 심화 (사용자 정의 함수) 오늘은 c언어 fuction(사용자 정의 함수)의 실제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난 시간에 함수의 형태나 함수의 기본적인 사용법등 사용자 정의 함수의 기초내용은 알아보았으니 처음 오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먼저 참고 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mech19.tistory.com/198 C언어 Function 기초 (사용자 정의 함수) 오늘은 c언어의 Function(함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함수란 무엇인지 다들 잘 알고 계시지요? 어릴 때 많이 배웠습니다. "y=f(x)" 기억나시는지요. 여기서 x에 넣는 값에 따라 y의 값이 mech19.tistory.com 먼저 함수의 return(리턴)값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위와 같은 예제를 가정 해 보겠습니다. 이.. 2022. 1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