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LCadress2 PLC 데이터 단위 별 활용 예 지난시간에 PLC의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의 단위와 표현이 가능한 범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이 데이터의 단위별로 PLC에서는 어떠한 데이터의 타입을 대입하여 사용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PLC의 Adress(Tag or Symbol)는 크게 Analog 와 Digital로 나뉜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물론 PLC는 2진수 digital만 인식이 가능하니 Analog로 들어온 신호도 Digital로 변환하여 계산합니다.) (그리고 문자열이나 저항에 대한 adress나 tag의 개념도 있지만 크게 자주 활용되지 않으니 이것은 논외로 치겠습니다.) Digital은 1과 0으로 나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했던 얘기지만, ON-OFF, OPEN-CLOSE.. 2021. 2. 25. PLC(HMI) Adress / Tag 기본개념 PLC의 가장 기본 개념인 ADRESS(주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LC란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자로 입력받은 데이터를 계산하여 제어상대기기에 출력신호를 보내어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뜻합니다. 본 포스팅을 보러 오신분의 경우 PLC나 제어, 혹은 계장에 대해서는 완전 초보이실듯 하여 부드럽고 편안하게 읽으실 수 있는 내용으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PLC의 기종 혹은 메이커마다 이 ADRESS를 부르는 이름이 다른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TAG(태그)라고 부를때도 있고, SYMBOL(심볼)이라고 부를때도 있습니다. DEVICE라고도 부르는군요. 저는 adress(주소)라고 부르는것을 좋아하는데, 이것은 우리가 PLC를 사용할때 메모리의 용량을 사용.. 2020. 4.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