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LC회로설계3

PLC Panel과 MCC 간의 회로 설계 오늘은 PLC를 이용해서 동력부하를 ON/OFF 제어할 때 설계하는 회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 먼저 동력부하는 MCC (Motor Control Center)에서 전원 및 고장, 사고, 제어를 관제합니다. 그래서 PLC는 동력부하와 직접 연결하는게 아닌 MCC와 연결이 됩니다. 완전 초보 분들은 이게 이해가 잘 안되시는 분들도 많이 뵈었는데, 그래서 아래 그림을 통해서 좀 더 알아보기 쉽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러한 Fan을 현장에 설치한다고 했을 때, 이런 Fan의 Start/Stop 제어, 그리고 과전류나 사고로 인한 고장전류등으로 부터 설비나 인명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MCC (Motor Control Center)라는 전기 판넬을 이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Panel의 모습을.. 2022. 8. 29.
PLC 회로 설계 AI(Analog Input), AO(Analog Output) 오늘은 PLC 회로 설계 두번째 시간입니다. 지난시간에 DI(Digital Input), DO(Digital Output)은 알아보았습니다. 혹시 못보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오늘은 AI(Analog Input), AO(Analog Output)만 알아볼 예정입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Digital과 Analog의 차이점은 알고 계신가요? 이 정도는 다들 알고 계시죠? Digital은 0 or 1로 대변되는 ON아니면 OFF인 신호를 이야기 합니다. 반면에 Analog는 연속성을 가지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0 ~ 100까지의 range를 가진다고 하면 7이 될 수도 있고, 63이 될 수도 있지요. 이러한 어떤 범위를 가지는 신호를 Analog 신호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2022. 4. 6.
PLC 회로 설계 DI(Digital Input), DO(Digital Output) feat. DC 24V를 사용하는 이유 오늘은 PLC 회로를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학교 다니실때 회로이론 같은 과목을 들었던 기억이 있으시죠? 그런것 보다 훨씬 재미있습니다. ㅎㅎㅎ 어렵지 않고 간단하고 재미있는 내용이니 차근차근 같이 알아보시지요. 가장 기초적인 DI(Digital Input), DO(Digital Output), AI(Analog Input), AO(Analog Output) 이 4가지를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산업용 PLC에서는 대부분 DC 24V를 사용합니다. 연구소나 가정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기기들은 DC 5V가 많습니다. 컴퓨터도 전원은 DC 9V를 사용하지만 내부에서는 5V를 주로 사용합니다. 그런데 왜 산업용에서는 24V를 사용하는 걸까요? 그건 전압이 높으면 높을 수록 노이즈.. 2022.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