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KEC3

KEC 규정에 따른 케이블 사이즈 선정(설계) 오늘은 22년 올해부터 시행된 KEC(한국전기설비기준) 규정으로 케이블 사이즈 선정(설계)을 해보겠습니다. 케이블 사이즈를 계산하는 방법은 기존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많이들 익숙해져 있으실 텐데요. 이제는 KEC 규정에 좀 더 익숙해 져야 합니다. 한번 찬찬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EC(한국전기설지기준)"가 나오기 전의 기준인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의 내용에 의한 케이블 사이즈 선정의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 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mech19.tistory.com/79?category=807449 분기회로 (저압) 케이블 사이즈 선정 오늘부터 전기회로(간선 및 분기회로)의 차단기와 케이블을 선정하는 과정을 찬찬히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최종 말단.. 2022. 11. 7.
KEC 규정에 따른 차단기 용량 선정(설계) 오늘은 전기설계 중 KEC규정에 따른 차단기 용량 선정(설계)방법을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가장 최신 개정된 방식을 찾아보려고 했는데 정확히 정리해 놓은 곳이 없어서 직접 합니다. (답답한 놈이 우물을 파야져. ㅎㅎㅎ) 예전방식인 내선규정 혹은 전기설비설계기준에 따른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mech19.tistory.com/80?category=807449 분기회로 (저압) 차단기 용량 선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분기회로에서 최종 말단 부하를 직접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저압 분기회로 차단기의 용량을 선정하는 방법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 차단기 용량선정 과 케이블 사이즈 mech19.tistory.com https://mech19.tistory.com/79 분기회.. 2022. 10. 28.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KEC(한국전기설비규정), 내선규정 개념 및 관계 정리 우리나라의 전기설비기준으로는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KEC(한국전기설비규정), 내선규정이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어떤걸 적용해야하는지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은것 같아요. 저도 정리가 똑바로 안되어 찾아보다보면 여기저기 말이 좀 다르더라구요. 그래서 더 혼란이 오는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KEC(한국전기설비규정), 내선규정이 무엇인지와 그리고 서로간의 상호관계는 어떻게 되는지를 한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특히 KEC(한국전기설비규정)가 새로 생기고 난 뒤로 혼선이 많은것 같아서 KEC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도 한번 잡고 가려고 합니다. 먼저 각각의 전문이나 개정이력등을 알아보고자 한다면 아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에 잘 나와 있으니 .. 2022. 10.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