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언어함수3 C언어 Function 응용 #1 (사용자 정의 함수) 오늘은 C언어의 사용자 정의 함수에 대해 좀 더 다양한 사용법을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지난시간까지 해서 두번에 걸쳐 C언어 function(사용자 정의 함수)에 대해 조금 알아보았었습니다. 혹시 기억이 잘 안나시거나 처음 오신 분들이라면 아래 포스팅을 먼저 참조 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mech19.tistory.com/198 C언어 Function 기초 (사용자 정의 함수) 오늘은 c언어의 Function(함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함수란 무엇인지 다들 잘 알고 계시지요? 어릴 때 많이 배웠습니다. "y=f(x)" 기억나시는지요. 여기서 x에 넣는 값에 따라 y의 값이 mech19.tistory.com https://mech19.tistory.com/199 C언어 Func.. 2022. 11. 16. C언어 Function 심화 (사용자 정의 함수) 오늘은 c언어 fuction(사용자 정의 함수)의 실제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난 시간에 함수의 형태나 함수의 기본적인 사용법등 사용자 정의 함수의 기초내용은 알아보았으니 처음 오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먼저 참고 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mech19.tistory.com/198 C언어 Function 기초 (사용자 정의 함수) 오늘은 c언어의 Function(함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함수란 무엇인지 다들 잘 알고 계시지요? 어릴 때 많이 배웠습니다. "y=f(x)" 기억나시는지요. 여기서 x에 넣는 값에 따라 y의 값이 mech19.tistory.com 먼저 함수의 return(리턴)값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위와 같은 예제를 가정 해 보겠습니다. 이.. 2022. 11. 14. C언어 Function 기초 (사용자 정의 함수) 오늘은 c언어의 Function(함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함수란 무엇인지 다들 잘 알고 계시지요? 어릴 때 많이 배웠습니다. "y=f(x)" 기억나시는지요. 여기서 x에 넣는 값에 따라 y의 값이 바뀌어져 나오고, x의 값을 이용하여 y의 값을 만들어 내는 수식이 함수였지요. c언어에서도 같은 개념입니다. 어떤 입력값에 따른 출력값을 만들어내는 것을 함수라고 합니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런데 이 지긋지긋한 수학인 함수가 갑자기 C언어에서 왜 나타난 것인지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한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여러분이 코딩작업을 하고 있는데 같은 작업을 100번을 해야 한다고 가정을 해 보십시오. 100번은 조금 약한가요? 그럼 1000번을 해야한다고 생각을 해 보시기.. 2022. 11.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