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쯔비시3 MELSEC-Q DI, DO Point (카드, 결선법, Manual 등) 오늘은 MITSUBISHI의 MELSEC-Q CPU의 DI카드와 DO카드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DI, DO는 각각 Digital Input, Digital Output을 의미합니다. Digital이라는 것은 0아니면 1, 또는 Open 아니면 Close, Start 아니면 Stop 등 이분법으로 나눌 수 있는 모든것을 표현 할 수 있는 신호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Digital은 1bit의 메모리크기로 표현이 가능하지요. 메모리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 주십시오. mech19.tistory.com/10 PLC 메모리의 체계와 데이터의 단위 PLC의 기본 데이터 단위는 Bit(비트) 입니다. 이 Bit라는 데이터 영역은 0 또는 1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21. 3. 6. GX-WORKS2 PLC Parameter setting 오늘은 GX-WORKS2 프로그램의 첫단계인 Parameter(파라미터) 셋팅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우리는 쪼렙이니까 어려운 이야기는 하지말고 쉽게쉽게 간단하고 필수적인 것만 이야기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사실 빈칸을 보면 그냥 놔둬도 될까 싶지만... 놔둬도 상관없는것들이 대부분입니다. 이전 포스팅을 보면 파라미터 셋팅을 하지 않고 프로그램 해서 시뮬레이터를 돌렸는데 잘 돌아갔잖아요. ㅎㅎ 자.. 먼저 GX-WORKS2를 실행해 보시면 아래와 같은 기본창이 뜹니다. 여기까진 들어가실 수 있으실거라 믿습니다. 만약 힘드시다면 바로 아래 이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mech19.tistory.com/45 MELSEC Q PLC 시작하기 (GX-WORKS2) 오늘은 일본 MITSUBISH.. 2021. 2. 25. GX-WORKS2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오늘은 간단하게 Gx-works2로 프로그래밍 할때 사용하는 간단한 기본적인 단축키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렁추가 : Shift + Insert 렁삭제 : Shift + Delete A접점 : F5 B접점 : F6 출력코일 : F7 출력명령어 : F8 긴줄 : F9 짧은줄 : Ctrl + 방향키 (그렸던 짧은줄을 삭제할때는 한번더 그리면 없어집니다.) Compile Build : F4 Rebuild All : Shift + Alt + F4 Write : F2 Device Find : Ctrl + F 자주 쓰는 단축키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2021. 2.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