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선규정2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KEC(한국전기설비규정), 내선규정 개념 및 관계 정리 우리나라의 전기설비기준으로는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KEC(한국전기설비규정), 내선규정이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어떤걸 적용해야하는지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은것 같아요. 저도 정리가 똑바로 안되어 찾아보다보면 여기저기 말이 좀 다르더라구요. 그래서 더 혼란이 오는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KEC(한국전기설비규정), 내선규정이 무엇인지와 그리고 서로간의 상호관계는 어떻게 되는지를 한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특히 KEC(한국전기설비규정)가 새로 생기고 난 뒤로 혼선이 많은것 같아서 KEC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도 한번 잡고 가려고 합니다. 먼저 각각의 전문이나 개정이력등을 알아보고자 한다면 아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에 잘 나와 있으니 .. 2022. 10. 27. 정정전류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전기설비) 제 38조 5항에 보면 "정정전류" 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오늘은 여기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제38조 5항 전문을 한번 보겠습니다. 전체적인 내용은 회로의 과전류차단설비를 [과부하 보호장치 + 단락보호 전용 차단기] 나 [과부하 보호장치 + 단락보호 전용 퓨즈]로 조합하여 시설할 경우에 적합한 규격을 설명한 항으로 특별히 크게 어려운 내용은 없습니다. 다만 2호의 경우 내용에서 "정정전류"라는 단어의 뜻을 정확히 모른다면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2. 단락보호 전용 차단기는 다음 표준에 적합한 것일 것. 가. 정격전류의 1배의 전류에서 자동적으로 작동하지 아니할 것. - 부하의 평상시 전류는 차단기가 작동하지 말고 잘 흘러야 된다는 뜻입니다. 나... 2021. 3.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