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전기 이론

접지의 종류 (1종접지, 2종접지, 3종접지, 특별3종접지)

by 쪼렙엔지니어 2022. 8. 19.
반응형

오랜만에 접지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그 첫번째 시간으로 접지의 종류와 그 차이점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이제 내선규정의 종별 접지는 법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니 간단히 읽어보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이 내선규정 자체가 일본의 규정을 본따서 만든 규정인데 이제는 IEC의 국제룰을 따라갑니다. 좀 더 국제적으로 변화하는거죠.

접지의 종류는 기존에 종별로 나뉘었다가 올해부터 IEC규격을 한국식으로 재해석하여 규정화한 KEC규격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내용을 위주로 한번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종별로 나눈 것을 이야기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종별로 접지를 나누어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먼저 알고 계셔야 하는 점은 종별 접지는 올해 22년 1월 1일부터 KEC규격으로 통합되면서 폐지가 되었습니다. 다만 이때까지 많이 사용하던 규격이라서 아직도 현장에서는 사용이 되고 있지요. 하지만 프로젝트 설계도서를 제출해야 한다면 KEC규정으로 계산하여 제출하셔야 합니다.

제1종접지공사

제 1종접지공사는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고압 및 특고압 기기의 외함에 시설하는 접지입니다. 또 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측에 시설하는 접지입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시설해야 하는 설비가 있지만 주로 언급되는 설비는 위와 같습니다. 그리고 접지선의 굵기는 6sq이상이며 접지저항 값은 10Ω 이하여야 합니다.

제2종접지공사

고압 및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압하는 변압기 2차측 중성점(N상)의 접지공사입니다. 변압기의 저압선로가 비접지식일 경우 고압과 저압 사이의 금속판 접지공사입니다. 고압과 저압의 혼촉시 저압쪽 전위상승 억제를 목적으로 합니다. 접지선의 굵기는 특고압과 저압의 경우 16sq이상이며 고압과 저압의 경우 6sq이상입니다.

접지저항 값은 계산을 따로 해야하는데 접지저항 = 150V/(1선 지락전류)Ω 입니다.

식에서 언급한 150V는 시설된 차단기가 2초 이후에 동작하는 경우이며 그외의 경우는 아래의 사항을 따릅니다.

2초 이내에 동작하는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150V -> 300V

1초 이내에 동작하는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150V -> 600V

즉 빠르게 동작하는 차단기가 설치되면 전압이 높아지며 전압이 높아질수록 저항의 계산 값이 커지겠지요.

그러나 접지저항값은 최종적으로 75Ω보다 작아야 하며, 고압 측이 비접지인 경우 10Ω 이하로 해야합니다.

제3종접지공사

400V미만의 기계기구의 외함 접지 입니다. 고압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접지 입니다.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기계 및 기구의 접지입니다. 접지선의 굵기는 2.5sq이상 이며 접지저항 값은 100Ω이하 입니다.

특별3종접지공사

400V이상의 기계기구의 외함 접지 입니다. 수중설비의 금속제 외함등의 접지 입니다. 접지선의 굵기는 2.5sq이상이며, 접지저항 값은 10Ω이하 입니다.

이제는 종료된 규정이지만 지금도 일반소규모 공사장에서는 많이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KEC 규정이 아직 명확하지 않아서 공사를 중단할 수 없기 때문에 여유율을 많이 주고 시공을 진행하는 거죠. 하지만 KEC규정을 꼼꼼히 따져보고 전기안전공사측에 질의를 해보고 명확한 답변을 얻고나서 공사를 진행하는 것이 FM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내용정리만 해 보았습니다. 이제 법적으로 종별접지는 사용하지 않으니 간단히 읽어보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다음시간에 이제 사용해야 할 KEC규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좋아요) 부탁드리고,

댓글은 다른분들께도 좋은 정보일 수 있으니

공개로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작은 정성이 좋은 포스팅을 생산하는

힘이 된답니다. :)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