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언어포인터5

C언어 포인터 심화과정 (배열포인터, 포인터배열) 오늘은 포인터 심화과정의 마지막 시간입니다. 오늘 내용까지 다 배우고 나면 C언어의 큰 관문 중 하나인 포인터를 완벽하게 넘게됩니다. 끝까지 파이팅 하시기 바랍니다.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은 반복적으로 읽어보고 여러번 연습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될겁니다. 반복이 중요합니다!! 1. 배열포인터 먼저 배열포인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배열포인터는 말그대로 배열의 형태를 가진 포인터 입니다. 사실 앞에서 배웠던 내용이 전부 배열포인터에 대한 내용들입니다.(완벽한 배열포인터는 아니지만요!!) 그럼 간단하게 정리를 해볼까요? 이렇게 포인터에 배열의 첫번째 원소의 주소값을 집어넣어도 되고, 배열의 이름을 집어넣어도 포인터에는 동일한 주소값 데이터가 들어가게 됩니다. 먼저 실행하여 결과값을 알아보도록 하.. 2022. 11. 3.
C언어 포인터 심화과정 (배열과 포인터, 포인터의 포인터) 자~ 포인터 심화과정 3번째 시간입니다. 포인터에 대해서는 조금 익숙해 지셨나요? 사실 포인터가 C언어에서 가장 난해하고 어려운 부분입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 어려운건 어쩔 수 없죠... 그럴때는 돌파할 수 있는 방법이 한가지 밖에 없습니다. 바로 반복학습이죠. 계속해서 반복하여 코딩을 짜보세요. 똑같거나 비슷한 프로그램도 좋고, 창의적으로 새로운걸 짜도 좋습니다. 반복 숙달하다보면 우리의 뇌는 새로운 걸 갑자기 깨닫기도 하거든요. 여튼 오늘은 포인터 심화과정 3번째 시간으로 배열과 포인터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배열과 포인터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끝내고 나면 그 어렵다는 포인터의 99%를 끝낸 것이니 이번파트까지만 화이팅 해봅시당. ㅎㅎ 그럼 바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1... 2022. 11. 2.
C언어 포인터 심화과정 (포인터 연산) 오늘은 C언어 포인터 심화과정 그 두번째 시간으로 포인터의 연산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포인터 기초를 알아보는 시간에 포인터도 변수의 한 종류라고 이야기 했던것 기억하시나요? (상수도 변수의 한 종류이지요. 변하지 않는 변수일 뿐.....) 그렇기에 변수처럼 포인터도 연산이 되지 않을까요? 맞습니다. 연산이 되기는 합니다. 다만 일반적인 연산과 조금 다를 뿐... 먼저 C언어의 포인터 연산은 아래와 같은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포인터는 정수와의 연산은 가능하지만, 실수와의 연산은 불가능합니다. 2. 포인터끼리 대입 혹은 비교 연산은 가능합니다. 3. 포인터끼리의 더하기, 곱하기, 나누기는 아무런 의미가 없을 뿐더러 필요하지도 않습니다. 4. 포인터끼리의 빼기는 가능하며, 그 결과값은 .. 2022. 11. 1.
C언어 포인터 심화과정 (상수포인터) 오늘은 포인터 두번째 날 입니다. 처음 오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통해 포인터의 기초를 먼저 보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기초에서 한발자국 더 나아가 포인터의 심화과정을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상수 포인터 우리가 이전에 상수에 대해서 알아보았던 적이 있습니다. 상수는 변수와는 달리 초기에 설정하고 나면 절대 바꿀 수 없는 값이었죠. 어떤 정수를 상수로 선언을 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졌었습니다. 이렇게 선언하면 a는 100이라는 정수 데이터를 가진 상수로써 프로그램이 끝날때까지 절대 변할 수 없었습니다.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실수로 상수의 값을 바꾸는 코드를 작성해도 오류를 발생시키며 실행되지 않았었죠. 그럼 포인터에도 상수를 적용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렇다면 포인터를.. 2022. 10. 31.
C언어 포인터 기초 자 드디어 대망의 포인터입니다. 많은 분들이 C언어를 공부하다가 포인터부분에서 좌절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포인터의 내용이 조금 난해하고 광범위하다보니 그런것 같은데 사실 차근차근 하나씩 알아가다보면 전혀 어려운 내용이 아닙니다. 그럼 포인터의 기초부터 하나씩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1. 데이터의 저장위치 자~ 우리가 입력하거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생성된 데이터는 메모리의 특정공간에 저장됩니다. 데이터의 최소 단위는 bit(비트)이지만 우리가 지금 이야기할 데이터의 단위는 좀 더 의미있는 데이터인 정수나 실수 같은 데이터를 이야기 할 것이므로 byte(바이트)단위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정수(int)는 4byte, 실수(float)는 8byte죠. 그래서 메모리상의 단위사이즈를 1byte라고 가정해 .. 2022. 10.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