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언어변수3 C언어 상수 constant 우리가 지금까지 변수에 대해서는 많이 알아보고 잘 사용해 왔습니다. 변수는 값이 변하는 인자이죠. 그럼 반대로 값이 변하지 않는 인자는 없을까요? 당연히 있습니다. 오늘은 값이 변하지 않는 인자인 변수 친구 상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릴 때 우리가 처음으로 방정식을 배울 때 상수라는 단어를 처음 배웠습니다. 방정식에서 변하지 않는 수를 상수라고 하죠. C언어에서도 동일한 의미입니다. 변수는 사용자의 입력이나 프로그램상에서 대입연산을 통해 값이 변경되지만 상수는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그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상수를 선언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변수의 자료형 앞에 "const"를 붙여주면 됩니다. 이렇게 선언하면 "정수형 상수 a는 7"이라고 선언한 것입니다. 상수가 엄청 특별한 존재인.. 2022. 10. 21. 변수 선언과 출력 자 오늘도 이 새까만 도화지에서 시작해 봅시다. 지난시간에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간단히 사용도 해보았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출력하는 법에 대해서요. 1. 변수의 선언 먼저 위와 같이 변수에 들어갈 값을 지정하지 않고 변수명만 변수의 자료형 타입과 함께 선언이 가능합니다. 변수에 들어갈 값은 나중에 따로 지정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같은 자료형이라면 위와 같이 연속적으로 선언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C언어는 대소문자를 구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a와 A는 다른 변수입니다. 다른 자료형으로 선언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합니다. 그리고 변수선언시에 숫자가 앞에 오면 안됩니다. 문자뒤에 숫자가 오는건 가능합니다. 변수 선언시에 한글도 괜찮습니다. 길게 쓸 수 있지만, 띄어쓰기는.. 2022. 2. 11. 2진법, 10진법, 16진법 그리고 변수 컴퓨터는 2진법을 사용하는데 2진법은 지수라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하고 지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X)^0 = 1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사실 말이 되지 않는 내용이지만 수학자들 사이에서 약속되고 정의된 값입니다. 이 값이 1이라고 정의되지 않는다면 다른 지수관련 중요한 법칙들을 정립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떤 값의 0승은 1이다라는 것은 외우는 걸 추천드립니다. 2진수와 10진수, 16진수는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2진수 = Binary, 10진수 = decimal, 16진수 = hex(hexadecimal) 2진화 10진수 = BCD 물론 우리가 컴퓨터처럼 2진수, 16진수, 10진수를 빛의 속도로 계산할 순 없습니다. 그렇지만 컴퓨터가 2진수로 받아들인다는 것을 기억하고, 표현은 1.. 2022. 2.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