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케이블허용전류3 KEC 규정에 따른 케이블 사이즈 선정(설계) 오늘은 22년 올해부터 시행된 KEC(한국전기설비기준) 규정으로 케이블 사이즈 선정(설계)을 해보겠습니다. 케이블 사이즈를 계산하는 방법은 기존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많이들 익숙해져 있으실 텐데요. 이제는 KEC 규정에 좀 더 익숙해 져야 합니다. 한번 찬찬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EC(한국전기설지기준)"가 나오기 전의 기준인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의 내용에 의한 케이블 사이즈 선정의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 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mech19.tistory.com/79?category=807449 분기회로 (저압) 케이블 사이즈 선정 오늘부터 전기회로(간선 및 분기회로)의 차단기와 케이블을 선정하는 과정을 찬찬히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최종 말단.. 2022. 11. 7. 간선 차단기 용량 /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 선정 #2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던 저압간선의 차단기용량과 케이블사이즈를 설계하는 방법을 직접 실제로 계산하여 진행해 보겠습니다. 아래의 이전 포스팅을 통해 간선 설계의 절차에 대해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mech19.tistory.com/84 간선 차단기 용량 /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 선정 이번시간에는 간선의 차단기 용량과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선은 여러개의 분기회로가 모여 더 많은 전력을 전달하는 분기회로 상위단의 회로를 의미합니다. mech19.tistory.com 분기회로 설계 때 사용했던 아래의 예시모델을 좀 더 확장해서 사용해 보겠습니다. 분기회로때와 달라진점은 MCC전단에 LOAD CENTER가 추가되었다는 점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전압강.. 2021. 3. 25. 간선 차단기 용량 /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 선정 #1 이번시간에는 간선의 차단기 용량과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선은 여러개의 분기회로가 모여 더 많은 전력을 전달하는 분기회로 상위단의 회로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당연히 분기회로보다 케이블은 더 굵고, 차단기는 더 크겠지요. 그렇기 때문에 한 분기회로의 사고가 다른 분기회로로 전파되지 않도록, 또는 분기회로의 사고가 간선의 상위단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혹은 그 반대로 간선의 사고가 분기회로로 전파되지 않도록 설계를 꼼꼼하게 잘 해야 합니다. 먼저 분기회로의 차단기와 케이블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들을 참조해 주십시오. mech19.tistory.com/83 분기회로 (저압) 차단기 용량, 케이블 사이즈 (전선굵기) 설계 이버 포스팅에서는 저압 분기회로에서 차단기와 케이블 선정을.. 2021. 3.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