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단위2 컴퓨터 메모리 시스템 (메모리 구조와 체계의 이해, 레지스터, L1 L2 L3 캐시메모리) 오늘은 컴퓨터시스템에서 메모리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차근차근 하나씩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설명으로 풀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메모리의 체계 이전 포스팅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실행되는 부분들이 CPU에서 연산되기 전에 메모리에서 순서대로 대기하고 있다고 했었지요? 메모리에도 종류가 있고, 종류마다 성능과 용량이 제각각 입니다. 일단 메모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가장 CPU에 가까이 위치해 있는 메모리는 Register(레지스터)입니다. 그럼 위 그림에서 보자면 가장 멀리 있는 건 SSD나 Hard Disk가 되겠지요. 물론 ODD (CD나 DVD같은 외부 저장매체)가 속도는 더 느리고 CPU에서의 접근성은 더 멀어지겠지요. 여튼 전체적인 개념도는 위와 같습니다.. 2022. 1. 8. PLC 메모리의 체계와 데이터의 단위 PLC의 기본 데이터 단위는 Bit(비트) 입니다. 이 Bit라는 데이터 영역은 0 또는 1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펌프나 팬에 달린 모터가 켜졌는지, 혹은 꺼졌는지를 표현할 수 있죠. 또는 모터를 켜지거나 꺼지도록 명령을 내릴 수 도 있지요. 여튼 경우의 수가 단 두가지의 경우라면 1bit의 데이터 크기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그럼 단 두가지의 경우가 아니고 훨씬 많은 경우를 표현해야 한다면? 예를 들어자면 모터의 RPM 속도를 나타내야 하는 경우 1Bit로는 힘들겠지요? 100RPM인 경우도 있고 101, 102, 103, 104.....등등 많은 경우를 표현해야 하니 단 두가지 경우를 표현 할 수 있는 1bit로는 표현이 힘듭니다. 이러한 경우 Bit를 모아 더 큰.. 2021. 2.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