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조체사용법2 C언어 구조체 심화 (구조체포인터) 오늘은 C언어 구조체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처음 오신 분들은 아래의 C언어 구조체 기초내용을 포스팅한 것부터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https://mech19.tistory.com/203 C언어 구조체 기초 오늘은 구조체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구조체는 배열과 비슷하게 많은 데이터를 한번에 관리할 때 편리한 기능입니다. 다만 배열과의 차이점은 배열은 데이터의 타입이 한가지로 mech19.tistory.com 간단히 다시 정리해 보자면 구조체는 위와 같은 형태로 선언하며,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멤버를 여러개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조합을 구조체타입명을 지정하는 형태로 정의 하는 것입니다. 즉, 위에서 struct는 구조체를 의미하고, stude.. 2022. 11. 30. C언어 구조체 기초 오늘은 구조체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구조체는 배열과 비슷하게 많은 데이터를 한번에 관리할 때 편리한 기능입니다. 다만 배열과의 차이점은 배열은 데이터의 타입이 한가지로 고정되는 반면에 구조체는 여러 데이터 타입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럼 바로 예제를 통하여 구조체의 형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조체의 형태 구조체의 가장 기초적인 형태입니다. 프로그램 작성을 시작하고 main함수가 시작되기 전에 struct를 이용하여 구조체를 선언합니다. 구조체는 각 원소의 타입이 제각각인 배열이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배열에서는 배열의 타입만으로 모든 원소의 타입을 알 수 있었지만, 구조체는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조체는 정의할 때 모든 원소의 타입을 명시해 주어야 합니다. 위 부분이.. 2022. 11.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