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 차단기 용량 /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 선정 #1
이번시간에는 간선의 차단기 용량과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선은 여러개의 분기회로가 모여 더 많은 전력을 전달하는 분기회로 상위단의 회로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당연히 분기회로보다 케이블은 더 굵고, 차단기는 더 크겠지요.
그렇기 때문에 한 분기회로의 사고가 다른 분기회로로 전파되지 않도록, 또는 분기회로의 사고가
간선의 상위단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혹은 그 반대로 간선의 사고가 분기회로로 전파되지 않도록
설계를 꼼꼼하게 잘 해야 합니다.
먼저 분기회로의 차단기와 케이블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들을 참조해 주십시오.
분기회로 (저압) 차단기 용량, 케이블 사이즈 (전선굵기) 설계
이버 포스팅에서는 저압 분기회로에서 차단기와 케이블 선정을 직접 해보며 설계 할 때 의 계산과정을 직접 알아보겠습니다. (케이블과 차단기는 LS제품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실제로 프로
mech19.tistory.com
그럼 간선의 케이블 사이즈 (전선굵기)과 차단기 용량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먼저 부하전류를 종류별로 나누어야 합니다.
분기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말단부하들을
기동부하가 있는 전동부하와 그 나머지 일반부하로 나누고 각각의 합을 구해야 합니다.
(전동부하와 일반부하의 정격전류를 구하는 방법은 분기회로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겠습니다.
IB = 차단기 정격전류
IW = 케이블 허용전류
IM = 전동부하의 정격전류의 합
IH = 일반부하의 정격전류의 합
1. 케이블의 허용전류
1) IH ≥ IM
일반부하 정격전류의 합이 전동부하 정격전류의 합보다 크거나 같을때.
IW ≥ IH + IM 입니다.
즉, 케이블의 허용전류는 일반부하 정격전류의 합과 전동부하 정격전류의 합보다 크거나 같으면 됩니다.
2) IM > IH
전동부하 정격전류의 합이 일반부하 정격전류의 합보다 클때.
이때는 추가로 생각해야 하는것이 한가지 더 있습니다.
전동부하의 정격전류가 50A보다 이하인가 초과인가 입니다.
만약 50A 이하인 경우에는, ( IM ≤ 50A )
반대로 만약 50A 초과인 경우에는, ( IM > 50A )
이 됩니다.
(물론 설비의 운전 방안에 따라 수용률을 곱해주어야 최적화 설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차단기의 정격전류
이제 두번째로 차단기의 정격전류를 구해보겠습니다.
간선의 차단기는 아래와 같이 계산 됩니다.
위 두 수식에서 나온 IB 값 중에서 작은 IB 값을 사용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 값보다 바로 아래단계의 정격을 가진
차단기를 선정하면 됩니다.
간단하지요?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실제로 간단하게 계산해 보겠습니다.
아래 포스팅을 참조 부탁드립니다.
간선 차단기 용량 / 케이블 사이즈 (전선 굵기) 선정 #2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던 저압간선의 차단기용량과 케이블사이즈를 설계하는 방법을 직접 실제로 계산하여 진행해 보겠습니다. 아래의 이전 포스팅을 통해 간선 설계의 절차에 대해
mech19.tistory.com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