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netic flow meter - Insertion type ( Krohne )
오늘은 전자유량계 (magnetic flowmeter)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그 중에서도 현재 제가 프로젝트에 사용하고 있는 Krohne사의 Insertion type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전자식 유량계의 원리는 패러데이의 전자계유도법칙을 이용하는데
그 중에서도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의 원리를 이용합니다.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은 자기장 속에서 도선이 움직일 때
자기장의 방향과 도선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유도기전력의 방향이 결정되는 규칙입니다.
즉 오른손의 검지 방향으로 자계가 형성되어 있는데 유전체가
오른손의 엄지방향으로 운동을 하면, 오른손의 중지 방향으로 기전력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전자식 유량계는 자계를 형성시켜 놓고,
배관속 유체가 수직으로 흐르게 만들어 생성된 기전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유속을 검출하여 배관사이즈과 계산하여 유량을 알아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유체는 도전성을 띄어야 하고, 유량계는 자계를 안정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인 전자식 유량계의 경우 위와 같은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정밀도도 높고 제한사항도 적어서 유체가 도전성질만 있다고 한다면 굉장히 유용합니다.
다만 가격이 많이 비싸죠.
그래서 제가 요즘 사용하고 있는 아래와 같은 형태를 띄고 있는 Insertion type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Insertion type은 배관사이즈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기 때문에 큰 배관에 사용 할 수 록 이익입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사용해본 결과 전후단 직관거리가 길어야 한다는 점, 정밀도가 조금 떨어진다는 점등의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타사제품은 잘 모르겠는데
크로네 제품의 본 모델의 경우 컨버터를 따로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컨버터의 모습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자식 유량계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알아보고 오늘은 이 제품의 설치 및 현장셋팅에 집중해 보겠습니다.
1. Installation check point
첫번째로 sensor probe를 설치할 때는 하부 플렌지 노즐 길이에 유의해야합니다.
배관사이즈와 유량에 대한 정보를 메이커에 송부하고 노즐 길이에 대해 인폼을 받는것이 중요합니다.
두번째로 유량의 방향과 sensor probe가 수직으로 만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특히 sensor probe의 목 부분에 보면 유량의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방향을 잘 보아야 합니다.
세번째로 당연한 이야기 이지만 sensor probe가 손상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네번째로 sensor probe와 converter의 결선에 유의해야 합니다.
특히 위 그림의 2번 케이블은 메이커에서 제공하는 special cable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 connection 정보를 보면 2번 케이블의 경우 (10)번 포인트와 (60)번 포인트에서 내각 쉴드와 외곽 쉴드를 이용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제공되는 special cable을 이용하는 것이 깔끔합니다.
그리고 5번째로 접지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접지가 제대로 안되어 있으면 유량값이 헌팅하는것을 많이 목격했습니다.
다음으로 현장셋팅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2. Setting procedure
현장에서 사용직전에 셋팅할때는 먼저 GKL, Pipe size, uint, range, density를 셋팅해주어야 합니다.
각각의 setting 절차는 manual을 참조해 주십시오.
참고로 GKL값은 아래와 같이 sensor probe에 적혀있습니다.
그 다음 배관에 물을 가득채우고 zero calibration을 진행하면 사용전 setting을 끝이 납니다.
(필히 배관을 만관으로 유지하고 유체의 흐름을 정지시켜야 합니다.)
매뉴얼은 첨부파일을 참조해 주십시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