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압력교정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압력교정기는 영어로 Pressure Calibrator 입니다. 압력교정기는 Pressure Transmitter나 Pressure Gauge를 검교정 할 때 사용합니다. 검교정이란 검사하고 교정한다는 의미인데 계기를 사용하다보면 조금씩 Zero-Span이 틀어지게 되는데 이것을 정확하게 맞춘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Zero-Span이란 영점부터 Full Range값을 의미합니다. 그럼 압력교정기를 이용하여 압력계기를 검교정할 때 어떤 시스템으로 구성해야 하는지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위와 같이 시스템을 구성한다고 보면 됩니다. 압력을 발생시키고 검교정이 완료된 압력게이지의 값과 검교정 대상 압력게이지의 값을 비교해 보는 것입니다. 여기서 빨간색 네모박스로 표시된것과 같이 압력 발생기와 검교정이 완료된 압력게이지의 조합이 압력교정기 시스템 부분입니다. 이제 실물은 어떻게 생겼는지 한번 보러 가겠습니다.
오늘 볼 제품은 Sika의 압력교정기 입니다. 공압용으로 미압과 중압용 두가지를 보겠습니다. 먼저 미압용을 보겠습니다. 외부 박스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이건 미압과 중압 둘다 동일하게 생겼습니다.



그리고 내부는 위와 같이 생겼습니다. 왼쪽이 미압용이고 오른쪽이 중압용입니다. 미압용은 압력발생기구인 핸드펌프만 있고, 중압용은 핸드펌프와 압력게이지도 있습니다. 미압용의 경우 제가 필요한 압력값을 표시해 주는 압력게이지가 Sika제품은 납기가 오래걸린다고 하여 따로 구매하였습니다. 아래 제품입니다.

처음보는 브랜드이긴 한데 Sika사에서 품질보증을 한다고 하여 구매하였습니다. 압력 교정기용 압력게이지는 아날로그 타입보다는 디지털 타입이 좋습니다. 그래야 정확한 값을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랜만에 전원을 켜보니 영점( Zero Point)가 살짝 틀어져 있네요. 액정 바로 밑에 ZERO 버튼을 3초정도 꾹 눌러주면 0점 교정이 됩니다. 그리고 이제 미압용 핸드펌프와 결합하여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압용 핸드펌프를 보면 노란색 플러그가 두개가 보이죠? 이걸 풀고 압력게이지를 결합하면 됩니다. 압력게이지를 따로 구매한 제품이기 때문에 Hole Size가 맞지 않아서 바로 연결을 할 수는 없고, 핸드펌프와 함께 제공되는 레듀서 어댑터를 체결하여 결합하면 됩니다.



시운전때 압력교정기를 사용하다보면 정말 다양한 Thread를 만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어댑터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제가 그냥 체결을 했는데 당연히 테플론 테이프를 감아서 체결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 다음은 검교정 대상 Pressure Transmitter(압력 전송기)를 체결해 보겠습니다. 압력 전송기 또한 Hole Size가 맞지 않기 때문에 중간에 어댑터를 사용해 주도록 합니다. 그리고 체결하면 됩니다.
이제 다음은 중압용 압력교정기를 보겠습니다.


핸드펌프의 모습이 조금 다르죠? 그러나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동일합니다.


그리고 중압용 압력게이지입니다. 이 제품은 Sika사에서 함께 나오는 제품이기 때문에 별도의 어댑터가 필요 없이 바로 체결됩니다.

전부 연결하면 위와 같은 모습이 됩니다. 그러나 이게 끝이 아닙니다. 압력 전송기를 교정하려면 압력 전송기에서 발생하는 전압 혹은 전류값을 확인하며 교정해야 합니다. 그 방법을 다음시간에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압력교정기는 정말 다양한 모델이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알아본 제품은 수동 제품이지만 전동펌프를 내장한 자동 제품도 있습니다. Sika의 모델을 예로 들자면 아래와 같은 모델들도 있겠네요.



하지만 전동펌프 내장형은 진짜 비쌉니다. ㅎㅎㅎ 적게는 수백만원부터 많게는 수천만원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매가 힘듭니다. ㅎㅎ만약에 검교정을 주업으로 하고, 초 정밀 검교정 작업을 해야 한다면 추천드립니다. ㅎㅎ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시간에 압력전송기를 직접 검교정 해보며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좋아요) 부탁드리고,
댓글은 다른분들께도 좋은 정보일 수 있으니
공개로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작은 정성이 좋은 포스팅을 생산하는
힘이 된답니다. :)
감사합니다.
'계장 > INSTRUMENT (Press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essure Calibration 압력 계기 검교정 (0) | 2022.08.17 |
---|---|
Pressure Transmitter 개념과 원리 (1) | 2022.02.22 |
댓글